리콜 2년째 감소···자동차는 22.4% 증가
등록일 : 2025.08.06 08:13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지난해 리콜 건수는 2천5백여 건으로 2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다만 리콜은 공산품을 제외한 모든 품목에서 늘었는데, 특히 자동차 리콜이 22.4% 증가했습니다.
임보라 기자입니다.
임보라 기자>
지난해 리콜 건수는 2천537건으로 전년보다 9.8% 줄었습니다.
리콜 건수는 2022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했습니다.
유형별로는 리콜명령이 1천9건으로 37.8% 줄었습니다.
반면 자진리콜은 898건으로 30.3%, 리콜권고도 630건으로 25.8% 늘었습니다.
자발적 리콜이 증가한 건 오히려 기업 신뢰도 향상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전화인터뷰> 최철 /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
"오히려 소비자들이 (자진리콜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지 않는다는 거죠. 그래서 기업은 조금 더 능동적으로, 선제적으로 자발적인 리콜 조치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이 생기고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관련 법률별로는 주요 7개 법률에 따른 리콜이 전체의 96.5%를 차지했습니다.
이 가운데 화학제품안전법에 의한 리콜이 50.9% 줄어 전체 리콜 감소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품목별로는 공산품이 1천180건으로 24.1% 줄었습니다.
반면 공산품을 제외한 모든 품목의 리콜이 늘었습니다.
특히 자동차는 399건으로 22.4% 증가했습니다.
지자체 리콜은 119건으로 85.9% 급증했습니다.
먹거리 상품과 관련한 리콜이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지난해 국내 유통이 차단된 해외 위해제품은 1만1천436건을 기록했습니다.
모두 해외에서 리콜 대상이거나 국내 안전성 조사 결과 위해성이 확인된 제품들입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강은희)
리콜과 관련한 자세한 정보는 소비자24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TV 임보라입니다.
지난해 리콜 건수는 2천5백여 건으로 2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다만 리콜은 공산품을 제외한 모든 품목에서 늘었는데, 특히 자동차 리콜이 22.4% 증가했습니다.
임보라 기자입니다.
임보라 기자>
지난해 리콜 건수는 2천537건으로 전년보다 9.8% 줄었습니다.
리콜 건수는 2022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했습니다.
유형별로는 리콜명령이 1천9건으로 37.8% 줄었습니다.
반면 자진리콜은 898건으로 30.3%, 리콜권고도 630건으로 25.8% 늘었습니다.
자발적 리콜이 증가한 건 오히려 기업 신뢰도 향상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전화인터뷰> 최철 /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
"오히려 소비자들이 (자진리콜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지 않는다는 거죠. 그래서 기업은 조금 더 능동적으로, 선제적으로 자발적인 리콜 조치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이 생기고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관련 법률별로는 주요 7개 법률에 따른 리콜이 전체의 96.5%를 차지했습니다.
이 가운데 화학제품안전법에 의한 리콜이 50.9% 줄어 전체 리콜 감소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품목별로는 공산품이 1천180건으로 24.1% 줄었습니다.
반면 공산품을 제외한 모든 품목의 리콜이 늘었습니다.
특히 자동차는 399건으로 22.4% 증가했습니다.
지자체 리콜은 119건으로 85.9% 급증했습니다.
먹거리 상품과 관련한 리콜이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지난해 국내 유통이 차단된 해외 위해제품은 1만1천436건을 기록했습니다.
모두 해외에서 리콜 대상이거나 국내 안전성 조사 결과 위해성이 확인된 제품들입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강은희)
리콜과 관련한 자세한 정보는 소비자24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TV 임보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 (470회) 클립영상
- 김 총리 "호우 피해지역 긴급조치 신속 시행" 01:40
- 노인 대상 정책 분석···'영향평가제' 도입 01:57
- 김 총리 "을지연습, 새로운 안보위협 대비" 00:32
- 한미정상회담 주요 의제는?···"경제·안보 철저히 대비" 02:13
- "15일 국민임명식에 전직 대통령·배우자 초청" 00:35
- "원폭 피해 동포·유가족 애도···상흔 치유 노력" 00:37
- "정연주 전 방심위원장 등 해촉사건 항소 포기" 00:35
- "수능 D-100일···스스로를 돌보는 마음 중요" 00:33
- 국정위 "이 대통령 임기 내 세종 집무실 건립" 01:54
- '성장전략 TF' 첫 회의···기업 활력 제고 02:14
- KDI "가계부채비율, 수년 내 하락···고령화 영향" 01:49
- 7월, 역대 두 번째로 뜨거웠다···서울 열대야 일수 최다 02:34
- 리콜 2년째 감소···자동차는 22.4% 증가 01:56
- 무료 체험 이후 자동 결제···피해 급증 02:27
- 산업장관 "에너지 공기업 중대재해에 최고 제재" 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