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대한민국 반도체 신화 탄생
등록일 : 2025.08.19 14:10
미니플레이
차현주 앵커>
국가 경제의 핵심인 '반도체 산업'은 시작 당시 주변에서 모두 반대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숱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사업에 진출한지 불과 10여년 만에 세계 1위에 올랐는데요.
광복 80주년을 맞아 우리나라를 이끈 산업을 짚어보는 마지막 시간, 한국 반도체 산업의 성공 신화를 살펴보겠습니다.
라이팩 최고 기술·마케팅 책임자이신 박영준 교수님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

(출연: 박영준 / 라이팩 최고 기술·마케팅 책임자(CTMO))

차현주 앵커>
우선, 한국은 반도체 산업의 시작부터 알아봐야겠죠.
반도체 산업은 어떤 계기로,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습니까?

차현주 앵커>
당시 불모지나 다름없던 한국 반도체 산업에 한줄기 빛을 던진 역사적인 사건이 있었습니다.
한국 반도체 신화의 서막을 연 그날을 영상으로 보시겠습니다.

차현주 앵커>
이병철 삼성그룹 회장의 반도체산업 진출 결정 발표를 신호탄으로 삼성전자가 국내 최초로 '64K D램'을 국산화하는데 성공했죠?

차현주 앵커>
당시 교수님께서 실제로 금성반도체에 직접 몸담고 계셨던 걸로 알고 있는데요.
국내 기업들의 반도체 진출 초기 전략은 무엇이었나요?

차현주 앵커>
1990년대에 들어서는 세계 최대 메모리 수요처인 미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국내 반도체업계가 폭발적인 신장세를 기록했는데요.
이렇게 한국 반도체 산업이 세계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계기는 무엇인가요?

차현주 앵커>
여기서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256M D램 개발에 성공했을 당시 영상을 한 번 보겠습니다.

차현주 앵커>
이렇게 승승장구하던 흐름세를 쭉 이어가면 좋았겠지만, 성장하던 한국의 반도체 산업도 IMF 외환위기를 겪으며 장벽에 부딪히고 말았죠.
그때 당시 상황을 말씀해주시죠.

차현주 앵커>
IMF라는 큰 위기가 있었지만 반도체 산업은 대한민국 경제를 지탱하는 버팀목 역할을 해왔습니다.
그러나 위기론도 심심치 않게 흘러나오고 있는데요.
메모리 반도체를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는 아쉬운 부분이 있다는 평가죠?

차현주 앵커>
최근 중국의 첨단산업 경쟁력이 빠르게 향상되면서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도 기술개발을 가속하며 한국의 세계시장 지위를 위협하고 있는데요.
'초격차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요?

차현주 앵커>
AI 대전환 시대를 맞은 현 시점에서 AI칩에 꼭 들어가는 HBM.
이 HBM은 정확히 무엇인가요?

차현주 앵커>
이런 HBM을 둘러싼 미중 신경전은 국내 기업에게는 기회가 될 수도, 위기가 될 수도 있는데요.
HBM 시장 앞으로의 전망, 어떻게 보시는지요?

차현주 앵커>
한국은 현재 메모리 반도체에서 세계 최강이지만 아직 부족한 점도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기술 인력 부족과 교육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데요.
인력 확보를 위해서는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요?

차현주 앵커>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 속에서 지난날 '반도체 신화'를 만들어내며 세계를 제패한 한국 반도체 산업.
그 신화를 이어나가기 위한 과제는 무엇인가요?

차현주 앵커>
지금까지 전 SK하이닉스 연구소장을 역임한 박영준 교수님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