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육상 양식', 기후변화의 새로운 대안
등록일 : 2025.08.20 19:58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기후변화로 원초 수확이 줄면서 최근 김값이 3년째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육상 양식'이 가격 안정의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연구실 수조에서 시작된 이 기술이 실제 어민들의 소득원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최다희 기자입니다.
최다희 기자>
(풀무원 연구소 충북 오송시)
커다란 수조 안에 거뭇거뭇 한 물체가 나풀거립니다.
'바다의 금'이라고도 불리는 해조류, '김'입니다.
바다와 유사한 환경으로 조성한 수조 안에는 우리가 흔히 먹는 '방사무늬김' 종자를 양식 중입니다.
온도와 염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고수온이나 태풍, 적조 같은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녹취> 이다정 / 풀무원 수산미래사업팀 선임연구원
"큰 대형 수조에 깨끗하게 살균한 바닷물을 넣어 놓고, 그 이후에 실내에서 생산한 김 종자를 넣고요. 김에 최적화된 수온, 빛, 영양염 환경 조건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15일간 양식하게 됩니다."
육상 양식 김과 일반 김을 비교해 봤습니다.
육안으로는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생김새가 닮았습니다.
이 김을 한번 구우면 시중에서 파는 김과 더 비슷해집니다.
최다희 기자 h2ekgml@korea.kr
"육상 양식 김을 실제로 먹어봤습니다. 시중에서 파는 김과 식감이 크게 다르지 않은데요. 특유의 비린 맛과 약간의 짠 맛까지 똑같았습니다."
최근 시중 김값이 오름세라는 점을 고려하면 육상 양식 김의 의미는 더 큰 상황.
정부는 해수면 온도 상승으로 양식 환경이 더 악화되기 전에 김 종자 개발 등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녹취> 황동수 / 김 육상양식 시스템개발 연구책임자
"기후변화로 인해 일본 같은 경우는 김 생산량이 반 이상 떨어진 지역이 있거든요. 해수부 과제를 통해서 어민들한테 육상양식 시스템을 보급하고, 다품종의 육상양식 김을 어민들한테 보급하는 걸 (목표로)..."
기후변화 시대에 새로운 해법으로 제시된 육상 김 양식장.
바다를 벗어난 김 양식이 어민들의 안정적인 소득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영상취재: 유병덕, 김은아 /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최다희입니다.
기후변화로 원초 수확이 줄면서 최근 김값이 3년째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육상 양식'이 가격 안정의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연구실 수조에서 시작된 이 기술이 실제 어민들의 소득원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최다희 기자입니다.
최다희 기자>
(풀무원 연구소 충북 오송시)
커다란 수조 안에 거뭇거뭇 한 물체가 나풀거립니다.
'바다의 금'이라고도 불리는 해조류, '김'입니다.
바다와 유사한 환경으로 조성한 수조 안에는 우리가 흔히 먹는 '방사무늬김' 종자를 양식 중입니다.
온도와 염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고수온이나 태풍, 적조 같은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녹취> 이다정 / 풀무원 수산미래사업팀 선임연구원
"큰 대형 수조에 깨끗하게 살균한 바닷물을 넣어 놓고, 그 이후에 실내에서 생산한 김 종자를 넣고요. 김에 최적화된 수온, 빛, 영양염 환경 조건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15일간 양식하게 됩니다."
육상 양식 김과 일반 김을 비교해 봤습니다.
육안으로는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생김새가 닮았습니다.
이 김을 한번 구우면 시중에서 파는 김과 더 비슷해집니다.
최다희 기자 h2ekgml@korea.kr
"육상 양식 김을 실제로 먹어봤습니다. 시중에서 파는 김과 식감이 크게 다르지 않은데요. 특유의 비린 맛과 약간의 짠 맛까지 똑같았습니다."
최근 시중 김값이 오름세라는 점을 고려하면 육상 양식 김의 의미는 더 큰 상황.
정부는 해수면 온도 상승으로 양식 환경이 더 악화되기 전에 김 종자 개발 등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녹취> 황동수 / 김 육상양식 시스템개발 연구책임자
"기후변화로 인해 일본 같은 경우는 김 생산량이 반 이상 떨어진 지역이 있거든요. 해수부 과제를 통해서 어민들한테 육상양식 시스템을 보급하고, 다품종의 육상양식 김을 어민들한테 보급하는 걸 (목표로)..."
기후변화 시대에 새로운 해법으로 제시된 육상 김 양식장.
바다를 벗어난 김 양식이 어민들의 안정적인 소득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영상취재: 유병덕, 김은아 /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최다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776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케데헌’ 주역 만났다···"문화예술 지원 필요" 02:02
- "석유화학업계 설비 과잉"···민관 합동 설비 감축 02:25
- 공급망안정화 금융지원···올해 정책금융 50조 투입 02:29
- 대통령실 "한반도 평화 조치, 남북 모두 위한 것" 02:05
- 공습 대비 민방위 훈련···긴급차량 길 터주기 동시 진행 01:38
- 국방장관 "UFS 연습은 한미 연합방위태세 강화 기회" 00:47
- '상생페이백' 다음 달 신청···최대 30만 원 환급 01:39
-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간편결제는 삼성·애플페이만 [뉴스의 맥] 04:16
- "주택 공급대책 마무리 단계···세금 정책도 수단" 01:50
- 첨단 드론으로 산불·조류 대응···상용화 개발 착수 02:51
-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6억9천만톤···전년보다 2%↓ 02:05
- 식약처, '비만치료제' 불법광고 업체 5곳 적발 01:48
- '김 육상 양식', 기후변화의 새로운 대안 02:20
- '태극기 디지털굿즈' 공개···"한미정상회담 성공 기원" 00:28
- '채용 정보 한눈에' 올해 공직박람회 수원, 부산서 개최 00:54
- 벌들의 활동이 왕성해지는 시기, 쏘임 주의! 00:47
- 승마 체험으로 신나는 2학기를 00:49
- "식물바이러스 14종 발생 현황 한눈에" 전국 분포 지도 작성 0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