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페이백' 다음 달 신청···최대 30만 원 환급
등록일 : 2025.08.21 08:56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카드 소비액 일부를 환급해주는 상생페이백 사업이 다음 달 15일부터 온라인 신청을 받습니다.
올해 소비액이 작년 평균보다 늘었다면 최대 30만 원을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임보라 기자입니다.
임보라 기자>
카드 소비액 증가분의 일부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상생페이백 사업.
다음 달 15일부터 상생페이백 누리집에서 온라인 신청을 받습니다.
신청 대상은 지난해 본인 명의의 국내 신용, 체크카드 소비 실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 국민과 외국인입니다.
지난해 월 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소비액이 증가해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한도는 전년 대비 올해 증가분의 20%, 월 최대 10만 원입니다.
지난해 월 평균 카드 소비액이 100만 원이고 올해 9월 130만 원을 사용했다면 6만 원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첫주는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신청 일자가 달라집니다.
신청 첫날인 15일에는 끝자리가 0과 5인 사람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일부터는 끝자리와 상관 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녹취> 이대건 /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관
"상생페이백의 신청방법과 사용처, 지급 등 궁금해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상담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전용콜센터 1533-2800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업 신청은 온라인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다만 전통시장 상인회나 소상공인지원센터, 은행 영업점 등을 방문하면 신청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영상취재: 한기원, 임주완 /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임보라입니다.
카드 소비액 일부를 환급해주는 상생페이백 사업이 다음 달 15일부터 온라인 신청을 받습니다.
올해 소비액이 작년 평균보다 늘었다면 최대 30만 원을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임보라 기자입니다.
임보라 기자>
카드 소비액 증가분의 일부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상생페이백 사업.
다음 달 15일부터 상생페이백 누리집에서 온라인 신청을 받습니다.
신청 대상은 지난해 본인 명의의 국내 신용, 체크카드 소비 실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 국민과 외국인입니다.
지난해 월 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소비액이 증가해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한도는 전년 대비 올해 증가분의 20%, 월 최대 10만 원입니다.
지난해 월 평균 카드 소비액이 100만 원이고 올해 9월 130만 원을 사용했다면 6만 원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첫주는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신청 일자가 달라집니다.
신청 첫날인 15일에는 끝자리가 0과 5인 사람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일부터는 끝자리와 상관 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녹취> 이대건 /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관
"상생페이백의 신청방법과 사용처, 지급 등 궁금해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상담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전용콜센터 1533-2800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업 신청은 온라인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다만 전통시장 상인회나 소상공인지원센터, 은행 영업점 등을 방문하면 신청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영상취재: 한기원, 임주완 /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임보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 (480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케데헌’ 주역 만났다···"문화예술 지원 필요" 02:02
- "석유화학업계 설비 과잉"···민관 합동 설비 감축 02:24
- 공급망안정화 금융지원···올해 정책금융 50조 투입 02:29
- 대통령실 "한반도 평화 조치, 남북 모두 위한 것" 02:05
- 공습 대비 민방위 훈련···긴급차량 길 터주기 동시 진행 01:38
- 국방장관 "UFS 연습은 한미 연합방위태세 강화 기회" 00:46
- '상생페이백' 다음 달 신청···최대 30만 원 환급 01:39
-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간편결제는 삼성·애플페이만 [뉴스의 맥] 04:16
- "주택 공급대책 마무리 단계···세금 정책도 수단" 01:50
- 첨단 드론으로 산불·조류 대응···상용화 개발 착수 02:51
-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6억9천만톤···전년보다 2%↓ 02:05
- 식약처, '비만치료제' 불법광고 업체 5곳 적발 01:48
- '태극기 디지털굿즈' 공개···"한미정상회담 성공 기원" 0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