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안정화 금융지원···올해 정책금융 50조 투입
등록일 : 2025.08.21 08:52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글로벌 공급망 불안으로 인한 충격이 우리 산업 전반에도 확산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원료 대체 수입처 발굴과 핵심광물 투자 등을 위해 올해 약 50조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조태영 기자입니다.
조태영 기자>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양극재.
국내 양극재 3사의 영업이익은 2022년 8천억 원 규모 흑자에서 2023년 300억 원대 적자로 전환됐습니다.
지난해에는 6천억 원 가까운 손실로 불어났습니다.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여파로 원료 가격 급등, 수출 악화가 이어진 탓입니다.
같은 이유로 석유화학, 철강 등 핵심 산업들도 한계에 직면했습니다.
정부는 해법으로 '공급망안정화 전주기 금융지원'을 내놨습니다.
먼저 올해 45조8천억원 규모의 정책 자금을 저리로 공급할 계획입니다.
무역보험 등의 보증·보험 제공 시, 4조4천억 원 한도 내로 공급망 대상기업 보증료율을 우대 제공합니다.
녹취> 구윤철 / 경제부총리
"자원확보-유통-생산의 3단계로 구분하고, 그 특성에 맞춰 맞춤형 금융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특히 고위험 1등급 경제안보품목에 대한 공급망안정화기금 우대 지원 등 선택과 집중을 통해..."
정부는 대체수입처의 수입단가 차액을 보조하는 등 원료 수급처를 다변화하고, 새 수입처 원료를 활용한 중소·중견기업의 제품 생산을 지원합니다.
민간 자원개발도 돕습니다.
해외광물자원 개발 사업에 약 500억 원을 투자하고, 핵심광물투자협의회를 통해 관련 유망 사업을 발굴합니다.
아울러 핵심광물 민관 공동투자 규정을 손질합니다.
그동안 투자 기간이 끝나면 투자원금에 더해 최소한의 수익까지 회수했지만, 앞으로는 원금만 돌려받도록 조건을 완화했습니다.
또한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공급망기금 지원을 강화합니다.
선도사업자의 경우 국고채수준에 준하는 초저리 자금을 지원합니다.
여신 한도가 부족한 중소·영세기업에는 보증·보험을 연계해 뒷받침합니다.
한편 정부는 현재 6개소인 해외 공동물류센터를 2032년까지 40곳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해외 항만 터미널 지분과 운영권 확보에도 공공 자금을 투입합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조태영입니다.
글로벌 공급망 불안으로 인한 충격이 우리 산업 전반에도 확산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원료 대체 수입처 발굴과 핵심광물 투자 등을 위해 올해 약 50조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조태영 기자입니다.
조태영 기자>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양극재.
국내 양극재 3사의 영업이익은 2022년 8천억 원 규모 흑자에서 2023년 300억 원대 적자로 전환됐습니다.
지난해에는 6천억 원 가까운 손실로 불어났습니다.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여파로 원료 가격 급등, 수출 악화가 이어진 탓입니다.
같은 이유로 석유화학, 철강 등 핵심 산업들도 한계에 직면했습니다.
정부는 해법으로 '공급망안정화 전주기 금융지원'을 내놨습니다.
먼저 올해 45조8천억원 규모의 정책 자금을 저리로 공급할 계획입니다.
무역보험 등의 보증·보험 제공 시, 4조4천억 원 한도 내로 공급망 대상기업 보증료율을 우대 제공합니다.
녹취> 구윤철 / 경제부총리
"자원확보-유통-생산의 3단계로 구분하고, 그 특성에 맞춰 맞춤형 금융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특히 고위험 1등급 경제안보품목에 대한 공급망안정화기금 우대 지원 등 선택과 집중을 통해..."
정부는 대체수입처의 수입단가 차액을 보조하는 등 원료 수급처를 다변화하고, 새 수입처 원료를 활용한 중소·중견기업의 제품 생산을 지원합니다.
민간 자원개발도 돕습니다.
해외광물자원 개발 사업에 약 500억 원을 투자하고, 핵심광물투자협의회를 통해 관련 유망 사업을 발굴합니다.
아울러 핵심광물 민관 공동투자 규정을 손질합니다.
그동안 투자 기간이 끝나면 투자원금에 더해 최소한의 수익까지 회수했지만, 앞으로는 원금만 돌려받도록 조건을 완화했습니다.
또한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공급망기금 지원을 강화합니다.
선도사업자의 경우 국고채수준에 준하는 초저리 자금을 지원합니다.
여신 한도가 부족한 중소·영세기업에는 보증·보험을 연계해 뒷받침합니다.
한편 정부는 현재 6개소인 해외 공동물류센터를 2032년까지 40곳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해외 항만 터미널 지분과 운영권 확보에도 공공 자금을 투입합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 (480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케데헌’ 주역 만났다···"문화예술 지원 필요" 02:02
- "석유화학업계 설비 과잉"···민관 합동 설비 감축 02:24
- 공급망안정화 금융지원···올해 정책금융 50조 투입 02:29
- 대통령실 "한반도 평화 조치, 남북 모두 위한 것" 02:05
- 공습 대비 민방위 훈련···긴급차량 길 터주기 동시 진행 01:38
- 국방장관 "UFS 연습은 한미 연합방위태세 강화 기회" 00:46
- '상생페이백' 다음 달 신청···최대 30만 원 환급 01:39
-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간편결제는 삼성·애플페이만 [뉴스의 맥] 04:16
- "주택 공급대책 마무리 단계···세금 정책도 수단" 01:50
- 첨단 드론으로 산불·조류 대응···상용화 개발 착수 02:51
-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 6억9천만톤···전년보다 2%↓ 02:05
- 식약처, '비만치료제' 불법광고 업체 5곳 적발 01:48
- '태극기 디지털굿즈' 공개···"한미정상회담 성공 기원" 0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