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김 육상 양식', 기후변화의 새로운 대안
등록일 : 2025.08.21 12:05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기후변화로 원초 수확이 줄면서 최근 김값이 3년째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육상 양식'이 가격 안정의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김현지 앵커>
연구실 수조에서 시작된 이 기술이 실제 어민들의 소득원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최다희 기자입니다.

최다희 기자>
(장소: 풀무원 연구소 / 충북 오송시)

커다란 수조 안에 거뭇거뭇 한 물체가 나풀거립니다.
'바다의 금'이라고도 불리는 해조류, '김'입니다.
바다와 유사한 환경으로 조성한 수조 안에는 우리가 흔히 먹는 '방사무늬김' 종자를 양식 중입니다.
온도와 염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고수온이나 태풍, 적조 같은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녹취> 이다정 / 풀무원 수산미래사업팀 선임연구원
"큰 대형 수조에 깨끗하게 살균한 바닷물을 넣어 놓고, 그 이후에 실내에서 생산한 김 종자를 넣고요. 김에 최적화된 수온, 빛, 영양염 환경 조건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면서 15일간 양식하게 됩니다."

육안으로는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생김새가 닮았습니다.
이 김을 한번 구우면 시중에서 파는 김과 더 비슷해집니다.

최다희 기자 h2ekgml@korea.kr
"육상 양식 김을 실제로 먹어봤습니다. 시중에서 파는 김과 식감이 크게 다르지 않은데요. 특유의 비린 맛과 약간의 짠 맛까지 똑같았습니다."

최근 시중 김값이 오름세라는 점을 고려하면 육상 양식 김의 의미는 더 큰 상황.
정부는 해수면 온도 상승으로 양식 환경이 더 악화되기 전에 김 종자 개발 등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녹취> 황동수 / 김 육상양식 시스템개발 연구책임자
"기후변화로 인해 일본 같은 경우는 김 생산량이 반 이상 떨어진 지역이 있거든요. 해수부 과제를 통해서 어민들한테 육상양식 시스템을 보급하고, 다품종의 육상양식 김을 어민들한테 보급하는 걸 (목표로)..."

기후변화 시대에 새로운 해법으로 제시된 육상 김 양식장.
바다를 벗어난 김 양식이 어민들의 안정적인 소득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영상취재: 유병덕, 김은아 /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

KTV 최다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