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임금 일자리 1만5천 개 증가···역대 최저
등록일 : 2025.08.26 20:26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올해 1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증가 폭이 역대 최소를 기록했습니다.
통계청은 건설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분석했습니다.
윤현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윤현석 기자>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1분기 전체 임금 근로 일자리는 2천53만6천 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5천 개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지난해 4분기 15만3천 개로 10만 명대를 기록한 이후 한자릿수까지 떨어졌고,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8년 이후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습니다.
전화 인터뷰> 최재혁 / 통계청 행정통계과장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그 영향으로 일자리가 늘어나지 못했고, 원래 일자리를 많이 늘려주던 보건사회복지 일자리 증가 폭이 축소된 것. 이 두 가지가 원인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에서 역대 최대 규모인 15만4천 개의 일자리가 줄었습니다.
제조업과 정보통신은 각각 1만2천 개 감소했습니다.
도소매업 일자리는 8천 개, 부동산에서도 5천 개의 일자리가 없어졌습니다.
연령대별 일자리를 보면 20대 이하가 16만8천 개, 40대가 10만 개 줄었습니다.
두 연령대 모두 관련 통계 작성 후 역대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습니다.
한편 전체 일자리 가운데 퇴직과 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25만4천 개, 소멸 일자리는 219만7천 개로 나타났습니다.
신규일자리는 221만2천 개로 집계됐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윤현석입니다.
올해 1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증가 폭이 역대 최소를 기록했습니다.
통계청은 건설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분석했습니다.
윤현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윤현석 기자>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1분기 전체 임금 근로 일자리는 2천53만6천 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5천 개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지난해 4분기 15만3천 개로 10만 명대를 기록한 이후 한자릿수까지 떨어졌고,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8년 이후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습니다.
전화 인터뷰> 최재혁 / 통계청 행정통계과장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그 영향으로 일자리가 늘어나지 못했고, 원래 일자리를 많이 늘려주던 보건사회복지 일자리 증가 폭이 축소된 것. 이 두 가지가 원인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에서 역대 최대 규모인 15만4천 개의 일자리가 줄었습니다.
제조업과 정보통신은 각각 1만2천 개 감소했습니다.
도소매업 일자리는 8천 개, 부동산에서도 5천 개의 일자리가 없어졌습니다.
연령대별 일자리를 보면 20대 이하가 16만8천 개, 40대가 10만 개 줄었습니다.
두 연령대 모두 관련 통계 작성 후 역대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습니다.
한편 전체 일자리 가운데 퇴직과 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25만4천 개, 소멸 일자리는 219만7천 개로 나타났습니다.
신규일자리는 221만2천 개로 집계됐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윤현석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780회) 클립영상
- 한미 정상 "조선업 협력에 기대···경제 협력 강화" 02:18
- 북미회담 제안···"한반도 평화 새 길 열어달라" 02:53
- CSIS 정책연설···"국익 중심, 한미 실용동맹" 02:12
-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MOU·계약 11건 체결 01:52
- '세법개정안' 국무회의 의결···9월초 국회 제출 02:00
- 1분기 임금 일자리 1만5천 개 증가···역대 최저 01:38
- '지역별 맞춤형 K-UAM' 추진···예산·R&D 지원 02:36
- 수능 모의평가 9월 3일 실시···'사탐런' 현상 두드러져 02:20
- '2형 당뇨' 젊은 층 유병률 13년간 4배 증가 01:58
- 한국인 따라 살기·'케데헌' 열풍···관광산업 활성화 02:44
- 오후까지 전국 곳곳에 비···무더위 계속 02:29
- 31일부터 인천공항 해외 기업인 입국심사 단축 00:29
- 의료방사선 검사·피폭량 증가···지난해 3.5% ↑ 00:28
- 올여름 온열질환자 1.37배 증가 60대 이상 고령층· 낮 시간대 집중 발생 01:02
- 캠핑·불멍 아이템, 휴대용 에탄올 화로 안전하게 사용한다 00:41
- 왕실의 맛과 멋, 경복궁에서 느끼는 오감만족 00:53
- 헬로우 경복궁? 외국인도 반한 궁중문화축전 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