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출생아 23만8천 명···9년 만에 증가
등록일 : 2025.08.28 11:44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지난해 출생아 수가 23만8천여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김현지 앵커>
1년 전과 비교하면 3.6% 늘어나 9년 만에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통계청의 '지난해 출생 통계'가 발표됐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8천3백명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보다 8천3백 명, 3.6% 증가한 것으로 출생아 수가 9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0.75명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보다 0.03명, 3.8% 늘어난 것입니다.
전화인터뷰> 박현정 / 통계청 인구동향과 과장
"2022년 하반기부터 이어온 혼인증가의 영향과 30대 여성 인구의 증가와 함께 출산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줬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여성의 평균 출산연령은 33.7세로 전년보다 0.1세 높아졌습니다.
해당 연령 여자 인구 1천명 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연령별 출산율'은 30대 초반이 가장 높았습니다.
30대 후반과 20대 후반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출산 순위별로 보면, 첫째아이 출생이 지난해보다 5.6% 늘어났습니다.
반면 둘째 아이 출생은 2% 증가하는 데 그쳤고, 셋째 아이 이상은 5.8% 감소했습니다.
'시도별 합계출산율'은 전남과 세종이 1.03명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김지영)
서울은 0.58명으로 가장 낮았고, 부산이 0.68명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KTV 신경은입니다.
지난해 출생아 수가 23만8천여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김현지 앵커>
1년 전과 비교하면 3.6% 늘어나 9년 만에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통계청의 '지난해 출생 통계'가 발표됐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8천3백명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보다 8천3백 명, 3.6% 증가한 것으로 출생아 수가 9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0.75명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보다 0.03명, 3.8% 늘어난 것입니다.
전화인터뷰> 박현정 / 통계청 인구동향과 과장
"2022년 하반기부터 이어온 혼인증가의 영향과 30대 여성 인구의 증가와 함께 출산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줬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여성의 평균 출산연령은 33.7세로 전년보다 0.1세 높아졌습니다.
해당 연령 여자 인구 1천명 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연령별 출산율'은 30대 초반이 가장 높았습니다.
30대 후반과 20대 후반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출산 순위별로 보면, 첫째아이 출생이 지난해보다 5.6% 늘어났습니다.
반면 둘째 아이 출생은 2% 증가하는 데 그쳤고, 셋째 아이 이상은 5.8% 감소했습니다.
'시도별 합계출산율'은 전남과 세종이 1.03명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김지영)
서울은 0.58명으로 가장 낮았고, 부산이 0.68명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KTV 신경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872회) 클립영상
- 미·일 순방 마치고 귀국···"한미일 협력 이정표" 01:43
- 한은, 기준금리 동결···연 2.5% 유지 00:24
- 지난해 출생아 23만8천 명···9년 만에 증가 01:50
- '1인 세대' 1천만 돌파···전체 세대의 42% 01:59
- 9월부터 비닐 대신 '절연테이프'···보조배터리 기내 관리 보완 02:39
- 'APEC 문화산업고위급대화' 첫 개최···공동 성명 채택 02:05
- 영유아 수족구병 급증···"감염 시 외출 자제" 01:57
- 오늘의 날씨 (25. 08. 28. 10시) 01:07
- 한미 정상회담 국민 53.1% '긍정' 평가 22:41
- 미네소타주 학교 총격···어린이 2명 숨져 [월드 투데이] 05:41
- 역사에 남을 2025 APEC···준비 '총력전' 16:49
- 고용부 "비전문 외국인력 특화훈련 사업 활성화 위해 노력" [정책 바로보기]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