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식중독 26% 감소···살모넬라 식중독은 20% 늘어
등록일 : 2025.08.29 17:42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지난해 발생한 '식중독 현황'을 분석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1년 전보다 식중독 발생이 26% 줄었지만, '살모넬라균' 에 의한 식중독 사례는 늘었습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해 '식중독 발생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발생한 식중독은 모두 265건으로 1년 전보다 94건, 2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기온과 습도가 높은 여름철, 식중독 환자가 집중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7월에서 9월 사이 발생한 식중독이 전체 환자 수의 절반을 차지했습니다.
지난해 전체 식중독의 주요 원인이 된 병원체는 '살모넬라'였습니다.
달걀 껍데기에 묻어있는 '살모넬라'에 의한 식중독 건수가 58건으로 제일 많았습니다.
1년 전보다 20% 늘어난 수치입니다.
노로바이러스와 병원성 대장균으로 인한 식중독은 각각 37건, 24건 발생했습니다.
식약처는 '살모넬라 식중독'의 66%는 음식점에서 발생했다며, 교차 오염을 막기 위해 식재료와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전화인터뷰> 한정아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중독예방과 연구관
"살모넬라균은 달걀 껍질 등에서 다른 식품으로 교차오염이 될 수 있어 달걀 만진 후에는 비누 등을 이용해서 손을 깨끗이 씻고 다른 조리를 하시는게 좋겠고요. 또 가열할 때 충분히 가열하는 게 중요합니다."
또 9월에도 식중독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냉장 식품은 5도 이하, 냉동식품은 영하 18도 이하로 보관하고 식재료별로 조리기구를 구분해 사용하는 등 '식중독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신경은입니다.
지난해 발생한 '식중독 현황'을 분석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1년 전보다 식중독 발생이 26% 줄었지만, '살모넬라균' 에 의한 식중독 사례는 늘었습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해 '식중독 발생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발생한 식중독은 모두 265건으로 1년 전보다 94건, 2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기온과 습도가 높은 여름철, 식중독 환자가 집중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7월에서 9월 사이 발생한 식중독이 전체 환자 수의 절반을 차지했습니다.
지난해 전체 식중독의 주요 원인이 된 병원체는 '살모넬라'였습니다.
달걀 껍데기에 묻어있는 '살모넬라'에 의한 식중독 건수가 58건으로 제일 많았습니다.
1년 전보다 20% 늘어난 수치입니다.
노로바이러스와 병원성 대장균으로 인한 식중독은 각각 37건, 24건 발생했습니다.
식약처는 '살모넬라 식중독'의 66%는 음식점에서 발생했다며, 교차 오염을 막기 위해 식재료와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전화인터뷰> 한정아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중독예방과 연구관
"살모넬라균은 달걀 껍질 등에서 다른 식품으로 교차오염이 될 수 있어 달걀 만진 후에는 비누 등을 이용해서 손을 깨끗이 씻고 다른 조리를 하시는게 좋겠고요. 또 가열할 때 충분히 가열하는 게 중요합니다."
또 9월에도 식중독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냉장 식품은 5도 이하, 냉동식품은 영하 18도 이하로 보관하고 식재료별로 조리기구를 구분해 사용하는 등 '식중독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신경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1889회) 클립영상
- "내년 예산안, 경제 대혁신 마중물···'적극 재정' 필요" 02:41
- "초혁신경제 실현"···성장엔진 AI·R&D 중점 투자 02:38
- 거점국립대 8천억 원 투입···8세도 아동수당 지원 01:44
- 7월 산업활동 3대 지표 상승···'소비쿠폰 효과' 02:14
- 지난해 아동 학대 2만4천 건···가해자 84% 부모 01:43
- 지난해 식중독 26% 감소···살모넬라 식중독은 20% 늘어 01:58
- '체감 33~35도' 늦더위 계속···곳곳에 소나기 02:29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률 98.2%···지급액 9조8억 원 00:35
- 백악관 "트럼프, 러 우크라 공격 불만" [글로벌 핫이슈] 06:49
- 오늘의 증시 (25. 08. 29. 16시) 00:45
- 보증금부터 관리비까지! 월세 분쟁 해결 가이드 [잘 사는 법] 2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