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방중 예의주시"···북한 대화 나설지 '주목'
등록일 : 2025.08.29 20:27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다음 달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전승절 행사에 참석합니다.
정부는 김 위원장의 외교 무대 등장에 주목하며 북한과의 대화 재개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다음 달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이른바 '전승절' 행사에 참석합니다.
1945년 9월 2일 일본 정부가 무조건 항복한다는 문서에 서명하자, 중국 정부는 그 다음 날인 9월 3일을 항일전쟁승리기념일로 기리고 있습니다.
올해 80주년을 맞아 기념식을 성대하게 치른단 계획입니다.
김정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은 네 번째이자 2019년 이후 6년여 만입니다.
2018년 세 번, 2019년 한 번 방문했는데, 모두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전후에 이뤄졌습니다.
중요한 외교를 앞두고, '전통적 우군'인 중국의 지지를 확보하는 차원으로 해석됐습니다.
이런 점에서 김 위원장의 이번 중국 방문에도 관심이 모입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에서 올해 김 위원장을 만나고 싶다고 말한 후, 중국 방문이 공식 발표된 점에서 그렇습니다.
녹취>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저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뭐라고 딱 말하기는 어렵지만 올해 그(김정은)를 만나고 싶습니다."
우리 정부도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계기로 북한이 대화에 나설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녹취> 장윤정 / 통일부 부대변인
"이(김정은 방중)에 대해서 저희도 예의주시하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도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꽤 주목을 요하는 상황 진전이라고 말했습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도 지난 28일 기자간담회에서 김 위원장의 방중을 미리 알았고, 한미정상회담에도 영향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김 위원장이 외교무대로 나서는 것에 맞춰 트럼프 대통령의 '피스메이커' 역할을 부각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다만, 위 실장은 기대를 높게 잡지 않는 것이 오히려 건설적이라며, 담담하게 북한의 호응을 기다리는 게 낫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우리 측에선 우원식 국회의장이 전승절 기념식에 대표로 참석합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손윤지)
KTV 문기혁입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다음 달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전승절 행사에 참석합니다.
정부는 김 위원장의 외교 무대 등장에 주목하며 북한과의 대화 재개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다음 달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이른바 '전승절' 행사에 참석합니다.
1945년 9월 2일 일본 정부가 무조건 항복한다는 문서에 서명하자, 중국 정부는 그 다음 날인 9월 3일을 항일전쟁승리기념일로 기리고 있습니다.
올해 80주년을 맞아 기념식을 성대하게 치른단 계획입니다.
김정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은 네 번째이자 2019년 이후 6년여 만입니다.
2018년 세 번, 2019년 한 번 방문했는데, 모두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전후에 이뤄졌습니다.
중요한 외교를 앞두고, '전통적 우군'인 중국의 지지를 확보하는 차원으로 해석됐습니다.
이런 점에서 김 위원장의 이번 중국 방문에도 관심이 모입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에서 올해 김 위원장을 만나고 싶다고 말한 후, 중국 방문이 공식 발표된 점에서 그렇습니다.
녹취>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저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뭐라고 딱 말하기는 어렵지만 올해 그(김정은)를 만나고 싶습니다."
우리 정부도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계기로 북한이 대화에 나설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녹취> 장윤정 / 통일부 부대변인
"이(김정은 방중)에 대해서 저희도 예의주시하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도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꽤 주목을 요하는 상황 진전이라고 말했습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도 지난 28일 기자간담회에서 김 위원장의 방중을 미리 알았고, 한미정상회담에도 영향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김 위원장이 외교무대로 나서는 것에 맞춰 트럼프 대통령의 '피스메이커' 역할을 부각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다만, 위 실장은 기대를 높게 잡지 않는 것이 오히려 건설적이라며, 담담하게 북한의 호응을 기다리는 게 낫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우리 측에선 우원식 국회의장이 전승절 기념식에 대표로 참석합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손윤지)
KTV 문기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783회) 클립영상
- "내년 예산안, 경제 대혁신 마중물···'적극 재정' 필요" 02:39
- "초혁신경제 실현"···성장엔진 AI·R&D 중점 투자 02:34
- 거점국립대 8천억 원 투입···8세도 아동수당 지원 01:40
- 재해위험지역 정비 확대···초급 군 간부 처우 개선 [뉴스의 맥] 04:18
- 7월 산업활동 3대 지표 상승···'소비쿠폰 효과' 02:15
- "김정은 방중 예의주시"···북한 대화 나설지 '주목' 02:07
- "보이스피싱 검거 경찰관에 감사···공직자 미담 적극 발굴" 00:33
- 지난해 아동 학대 2만4천 건···가해자 84% 부모 01:43
- 지난해 식중독 26% 감소···살모넬라 식중독은 20% 늘어 01:58
- 해수부 장관, 수산물 물가 점검···"수산업 혁신 촉진" 02:09
-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확대·수해복구 지원 02:41
- '체감 33~35도' 늦더위 계속···곳곳에 소나기 02:29
- 김 총리, 경주 APEC 점검···"큰 행사 되는 것 같아" 00:27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률 98.2%···지급액 9조8억 원 00:36
- 의사수급추계위, 2027년 의대정원 추계 본격화 00:28
- 오르테·소베맘 젖병세척기, 전량 자발적 리콜 실시 00:58
- 3·3·3 법칙만 챙겨도 안심 전세계약 가능해요 00:59
- 공동체 신뢰 회복을 위한 '5대 반칙 운전' 집중단속 실시 00:57
- "사망사고 발생한 방파제에서 낚시를?" '연안 지역' 안전 요청 민원, 매년 수백여 건 발생 0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