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오늘 출발 가능성···3일 중국 전승절 참석
등록일 : 2025.09.01 19:58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모레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전승절 기념식에 참석합니다.
열차 이동 시간을 고려하면 김 위원장이 오늘 출발할 가능성이 유력해 보입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3일 오전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이른바 '전승절 기념식'에 참석합니다.
약 6년 8개월 만에 중국을 방문하는 겁니다.
이동수단은 특별열차가 유력합니다.
김 위원장이 전용기인 '참매 1호'를 타고, 해외를 방문한 건 2018년 6월 베이징이 마지막입니다.
2019년 중국 베이징, 2019년과 2023년 러시아 극동지역을 방문할 땐 모두 특별열차를 이용했습니다.
열차 이동 경로인 중국 단둥 지역의 경비가 강화되고 있단 외신 보도도 잇따라 나오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양무진 / 북한대학원대학교 명예교수
"김정은 위원장이 열차에 익숙해 있다는 점, 두 번째로는 '참매 1호' 같은 비행기가 상당히 노후화됐다는 점(에서 열차 이용이 유력합니다.)"
김 위원장이 열차로 베이징을 방문한다면 오늘 출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평양에서 베이징까지 열차로 24시간 정도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오늘 출발해야 기념식 전날 미리 도착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아직 북한이나 중국의 공식 발표는 없는 상황입니다.
녹취> 구병삼 / 통일부 대변인
"정부도 관련 동향을 주시하고 있는 중입니다. 최근 동향을 보면 북한이 공식적으로 출발하고 나면 통상 그다음 날까지는 공개를 해오고 있습니다."
김 위원장은 오는 4일까지 3박 4일간 중국을 방문해 북중관계를 복원하고, 특히 양국 경제협력을 강화할 거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김세원)
KTV 문기혁입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모레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전승절 기념식에 참석합니다.
열차 이동 시간을 고려하면 김 위원장이 오늘 출발할 가능성이 유력해 보입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3일 오전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이른바 '전승절 기념식'에 참석합니다.
약 6년 8개월 만에 중국을 방문하는 겁니다.
이동수단은 특별열차가 유력합니다.
김 위원장이 전용기인 '참매 1호'를 타고, 해외를 방문한 건 2018년 6월 베이징이 마지막입니다.
2019년 중국 베이징, 2019년과 2023년 러시아 극동지역을 방문할 땐 모두 특별열차를 이용했습니다.
열차 이동 경로인 중국 단둥 지역의 경비가 강화되고 있단 외신 보도도 잇따라 나오고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양무진 / 북한대학원대학교 명예교수
"김정은 위원장이 열차에 익숙해 있다는 점, 두 번째로는 '참매 1호' 같은 비행기가 상당히 노후화됐다는 점(에서 열차 이용이 유력합니다.)"
김 위원장이 열차로 베이징을 방문한다면 오늘 출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평양에서 베이징까지 열차로 24시간 정도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오늘 출발해야 기념식 전날 미리 도착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아직 북한이나 중국의 공식 발표는 없는 상황입니다.
녹취> 구병삼 / 통일부 대변인
"정부도 관련 동향을 주시하고 있는 중입니다. 최근 동향을 보면 북한이 공식적으로 출발하고 나면 통상 그다음 날까지는 공개를 해오고 있습니다."
김 위원장은 오는 4일까지 3박 4일간 중국을 방문해 북중관계를 복원하고, 특히 양국 경제협력을 강화할 거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김세원)
KTV 문기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784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내일 국무회의서 '국가 성장전략' 토론 02:41
- 김정은 오늘 출발 가능성···3일 중국 전승절 참석 01:42
- 합참의장 진영승···4성 장군 전원 교체로 '쇄신' 01:48
- 8월 수출 1.3% 증가···'반도체·자동차·선박' 견인 02:39
- '케데헌 열풍'···외래관광객 1천850만 달성 기대 02:31
- 공공기관 중대재해 시 기관장 '해임'···안전경영 강화 02:02
- 산재 처리 120일로 단축···절차 간소화 01:58
- 과기정통부 예산 '역대 최대'···AI 대전환 추진 03:05
- 산업부, 13조8천억 역대 최대 예산···AI·재생에너지 중점 02:19
- 내년 농업예산 첫 20조 돌파···"식량안보 강화" 02:01
- 7월 온라인쇼핑 23조 돌파···전년 대비 7.3% 증가 02:00
- 공백 1년 반 만에···사직 전공의 수련 재개 01:54
- 지역사랑상품권 할인율↑···특별재난지역 최대 20% 02:00
- "내수 활성화 추가 대책·물가 안정 전력" 00:47
- 가을철 안전위험 요소는 안전신문고로 신고하세요! 01:04
- 붉은 달이 뜬다! 국립과천과학관에서 만나는 개기월식 특별관측회 00:52
- 산업 현장의 핵심 인력, 외국인근로자(E-9) 4차 신청 안내 0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