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강제성' 표현 문제
등록일 : 2025.09.04 19:58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정부가 올해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추도사의 '강제성' 표현 문제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불참을 결정했습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일본 니가타현의 사도광산.
일제강점기 1천 명 이상의 조선인이 강제동원됐던 곳입니다.
지난해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일본 정부는 전체 역사를 반영하고, 매년 추도식을 열기로 약속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첫 추도식이 개최됐는데, 우리 정부는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추도사가 문제였습니다.
"한반도에서 온 노동자가 가혹한 환경에서 노동했다"고만 언급했고, '강제성'에 대한 표현은 없었습니다.
녹취> 이재웅 / 외교부 대변인(지난해 11월)
"일측 추도사 내용 등 추도식 관련 사항이 당초 사도광산 등재 시 합의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 중요한 고려사항이었습니다."
올해 추도식은 오는 13일 개최되는 것으로 전해지는 가운데, 정부는 올해도 참석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올해 역시 추도사의 '강제성' 표현이 쟁점이 됐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강제로 노역해야 했다는 것이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했다면서, 그러나 노동의 강제성에 관한 구체적 표현에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지난해처럼 현지에서 자체 추도식을 개최할 계획입니다.
다만, 시기와 규모 등은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사도광산 추도식이 합당한 모습을 갖춰 개최되길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민지)
앞으로도 강제동원 피해자와 유가족의 고통을 헤아리고 애도할 수 있도록 계속 일본 측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KTV 문기혁입니다.
정부가 올해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추도사의 '강제성' 표현 문제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불참을 결정했습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일본 니가타현의 사도광산.
일제강점기 1천 명 이상의 조선인이 강제동원됐던 곳입니다.
지난해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일본 정부는 전체 역사를 반영하고, 매년 추도식을 열기로 약속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첫 추도식이 개최됐는데, 우리 정부는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추도사가 문제였습니다.
"한반도에서 온 노동자가 가혹한 환경에서 노동했다"고만 언급했고, '강제성'에 대한 표현은 없었습니다.
녹취> 이재웅 / 외교부 대변인(지난해 11월)
"일측 추도사 내용 등 추도식 관련 사항이 당초 사도광산 등재 시 합의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 중요한 고려사항이었습니다."
올해 추도식은 오는 13일 개최되는 것으로 전해지는 가운데, 정부는 올해도 참석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올해 역시 추도사의 '강제성' 표현이 쟁점이 됐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강제로 노역해야 했다는 것이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했다면서, 그러나 노동의 강제성에 관한 구체적 표현에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지난해처럼 현지에서 자체 추도식을 개최할 계획입니다.
다만, 시기와 규모 등은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사도광산 추도식이 합당한 모습을 갖춰 개최되길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민지)
앞으로도 강제동원 피해자와 유가족의 고통을 헤아리고 애도할 수 있도록 계속 일본 측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KTV 문기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787회) 클립영상
- "노동 선진 사회·기업하기 좋은 나라, 충분히 양립" 02:09
- 정부,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강제성' 표현 문제 01:38
- "추석 물가 불안 '선제 조치'···유통구조 개혁" 02:27
- 대통령실 브리핑 - 수석보좌관회의 관련 02:21
- '성실 상환' 소상공인에 10조 특별지원···금리경감 3종 세트 02:30
- 폐업 소상공인 대출 상환 연장···최대 15년 01:57
- "K-컬처, 기회이자 위기···법·제도 손봐야" 02:40
- '4세 고시' 영어학원 23곳 적발···"선발 방식 바꿔야" 02:01
- "올여름 평균기온 관측 이래 최고" [뉴스의 맥] 03:01
- 비급여 진료비 연 7조 원···1인실 병실료 최다 02:06
- 지방 미분양 '안심환매' 추진···2028년까지 1만 호 매입 02:33
- 체납자 133만 명 전수조사···'국세 체납관리단' 출범 02:14
- '멀티탭' 사고 증가세···피해자 절반은 10세 미만 02:15
- 잇따르는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부풀면 사용 중지" 02:03
- 다음 달 1일 계룡대서 국군의 날 기념식 개최 00:30
- 강릉 가뭄에 범정부 총동원체계 가동···응급 급수·병물 지원 00:39
- 이 대통령, '손편지' 보낸 어린이들 만나···"꿈 꼭 이루라" 0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