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남녀 임금격차 30.7% '심화'···공공기관 감소
등록일 : 2025.09.05 11:30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지난해 공시대상회사의 남녀 평균 임금 격차가 30.7%까지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현지 앵커>
반면, 공공기관의 평균 임금 격차는 20%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보도에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여성가족부가 양성평등주간을 맞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제출된 2천980개 공시대상 회사와 344개 공공기관의 남녀 임금 격차 조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결과 지난해 국내 상장법인 등 공시대상 기업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남성 평균급여는 9천780만 원, 여성은 6천773만 원으로 조사됐습니다.
남녀 1인당 평균 임금 격차는 30.7%로 1년 전보다 4.4%p 격차가 더 벌어졌습니다.
여가부는 남녀 평균임금 모두 전년 대비 감소했지만, 여성의 임금 감소 폭이 남성보다 커 격차 확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과 정보통신업, 금융보험업 등에서 성별 임금 격차가 전년보다 확대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30.3%의 임금 격차를 보였던 정보통신업의 경우 34.6%까지 임금 격차가 커졌습니다.
공시대상 회사의 평균 근속연수는 남성 11.8년, 여성 9.4년으로 성별에 따른 근속연수 격차는 20.9%로 전년보다 2.1%p 줄었습니다.
여가부는 지난해 근속연수 격차가 줄었음에도 임금 격차는 오히려 확대됐다며 임금이 근속연수 외에 직급, 근로 형태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한편, 공공기관 344곳의 성별 임금 자료에서는 남성 1인당 평균임금이 7천267만 원, 여성 5천816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성별 임금 격차는 20%로, 전년 대비 격차가 2.7%p 줄었습니다.
공공기관의 평균 근속연수는 남성 10.5년, 여성 8.4년으로 성별 근속연수 격차는 19.9%로 나타났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여가부는 성별 임금 격차 분석 시 연령, 직급, 고용형태 등 다양한 변수를 포함해 격차 원인을 분석한 뒤 고용 평등 임금공시제 도입을 통해 성별 임금 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입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지난해 공시대상회사의 남녀 평균 임금 격차가 30.7%까지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현지 앵커>
반면, 공공기관의 평균 임금 격차는 20%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보도에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여성가족부가 양성평등주간을 맞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제출된 2천980개 공시대상 회사와 344개 공공기관의 남녀 임금 격차 조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결과 지난해 국내 상장법인 등 공시대상 기업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남성 평균급여는 9천780만 원, 여성은 6천773만 원으로 조사됐습니다.
남녀 1인당 평균 임금 격차는 30.7%로 1년 전보다 4.4%p 격차가 더 벌어졌습니다.
여가부는 남녀 평균임금 모두 전년 대비 감소했지만, 여성의 임금 감소 폭이 남성보다 커 격차 확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과 정보통신업, 금융보험업 등에서 성별 임금 격차가 전년보다 확대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30.3%의 임금 격차를 보였던 정보통신업의 경우 34.6%까지 임금 격차가 커졌습니다.
공시대상 회사의 평균 근속연수는 남성 11.8년, 여성 9.4년으로 성별에 따른 근속연수 격차는 20.9%로 전년보다 2.1%p 줄었습니다.
여가부는 지난해 근속연수 격차가 줄었음에도 임금 격차는 오히려 확대됐다며 임금이 근속연수 외에 직급, 근로 형태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한편, 공공기관 344곳의 성별 임금 자료에서는 남성 1인당 평균임금이 7천267만 원, 여성 5천816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성별 임금 격차는 20%로, 전년 대비 격차가 2.7%p 줄었습니다.
공공기관의 평균 근속연수는 남성 10.5년, 여성 8.4년으로 성별 근속연수 격차는 19.9%로 나타났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여가부는 성별 임금 격차 분석 시 연령, 직급, 고용형태 등 다양한 변수를 포함해 격차 원인을 분석한 뒤 고용 평등 임금공시제 도입을 통해 성별 임금 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입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1부 (1878회) 클립영상
- "노동 선진 사회·기업하기 좋은 나라, 충분히 양립" 02:08
- 정부,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강제성' 표현 문제 01:40
- 폐업 소상공인 대출 상환 연장···최대 15년 01:59
- 국내 기업 남녀 임금격차 30.7% '심화'···공공기관 감소 02:15
- "K-컬처, 기회이자 위기···법·제도 손봐야" 02:41
- 잇따르는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부풀면 사용 중지" 02:02
- 오늘의 날씨 (25. 09. 05. 10시) 01:06
- 'K-제조업 재도약 '···산업정책 재점검 27:11
- 허리케인 ‘로레나’, 멕시코 강타 [월드 투데이] 06:14
- 2026년 교육부 예산안 핵심은? 17:47
- 한미일 다영역 훈련 '프리덤 에지' 15~19일 실시 00:30
- 대통령실 브리핑 - 현안 관련 0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