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국내 ETF 투자 열풍···"상품 특성·투자 위험 살펴야"
등록일 : 2025.09.09 20:01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소액, 분산 투자를 실시간으로 할 수 있는 국내 상장지수펀드, ETF 시장이 최근 5년 사이 급성장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구조가 복잡한 ETF 상품도 즉시 거래가 가능한 만큼 상품 특성과 투자 위험을 꼼꼼히 따져볼 것을 당부했습니다.
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

김찬규 기자>
적은 금액으로 주식과 채권, 원자재 등 다양한 종목에 나누어 투자할 수 있어 인기를 끄는 국내 상장지수펀드, ETF.
지난달 기준 국내 ETF 순자산 규모는 232조 원으로 2020년보다 4.5배가량 늘었습니다.
상장 종목 수도 1천16개로 2002년 첫 도입 이후 처음으로 1천 개를 넘었습니다.
주식처럼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지만, 마찬가지로 시장 변동성에 따라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옵션 활용 등 복잡한 구조 상품도 즉시 거래할 수 있어 상품 특성과 투자 위험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전화인터뷰> 류지웅 / 금융감독원 펀드심사1팀장
"투자 원금 대비해서 은행 예금 이자처럼 확정적으로 지급되는 걸로 오해가 될 수 있지 않습니까. 기본적으로 ETF라는 게 지수를 추종한다든지 그러기 때문에 지수의 등락이라든지 그런 부분까지 같이 균형적으로 봐주십사..."

특히 '분배형 ETF'로 받는 분배금은 '월세' 같은 고정 수익이 아니라고 금감원은 강조했습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분배율이 높다고 손해가 없는 상품인 건 아니"라며 기준가격 추이를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분배금은 새로운 수익이 아니라 펀드가 보유한 자산 일부를 돌려주는 것으로, 분배금을 지급하면 그만큼 기준가격이 낮아집니다.
분배금을 받더라도 기준가 하락에 따른 손실이 더 크면 투자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금감원은 또, ETF 장기 투자 때 투자 비용을 확인할 것을 권했습니다.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인데, 투자 비용은 운용과 판매, 신탁 보수에 펀드 운용에 드는 비용을 더한 합성 총보수를 봐야 합니다.
아울러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 속 추천과 광고를 맹신해서는 안된다고 금감원은 당부했습니다.
손실이 발생하거나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할 수 있어 투자 설명서와 위험 등을 운용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하고 투자하는 게 좋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김찬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