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금 한국인 귀국준비 착수···이르면 10일 전세기 운항
등록일 : 2025.09.09 19:58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미국 이민당국에 붙잡힌 우리 국민 300여 명이 이르면 현지시간 10일 귀국길에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구금된 국민들을 자진출국 형식으로 데려오기 위해 미국 측과 남은 협의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비자 문제로 미국 이민당국에 체포, 구금된 300여 명의 한국인 노동자들, 이르면 현지시간 10일 전세기를 타고, 귀국길에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녹취> 이재웅 / 대변인
"현지시간 9월 10일 수요일 우리 전세기가 미국을 출발하는 것을 목표로 외교부 등 우리 정부와 관계 기업 및 항공사 측이 최선의 노력을 다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모든 준비가 끝나고 출발시점이 확정되는 대로 구체 계획을 추후 발표할 예정입니다."
전세기는 300명 이상 한 번에 탑승할 수 있는 대형 여객기로 알려졌습니다.
전세기 비용은 관련 기업 측에서 부담할 예정입니다.
이번 일정에는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이 동행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외교부 신속대응팀도 현지시간 8일 미국 애틀란타에 먼저 도착해 현장에서 우리 국민 귀국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조현 외교부 장관도 미국 워싱턴DC에서 미 행정부 고위인사들을 만나 사태 해결을 위한 협의에 나섰습니다.
구금된 한국인 노동자들은 '자진출국' 형식으로 석방, 귀국합니다.
정부는 한미 양국은 우리 국민 전원을 자진출국 형태로 가장 빠른 시일 내 귀국시키기 위한 세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전원이 '자진출국'을 택할지는 개인별로 의사를 확인 중입니다.
(영상취재: 한기원 / 영상편집: 김세원)
한편, 외교부 당국자는 영사면담을 진행한 인원 중 건강에 문제가 있거나 구금 환경에 문제를 제기한 경우는 없었고, 인권 침해를 보고받은 바도 없다고 말했습니다.
KTV 문기혁입니다.
미국 이민당국에 붙잡힌 우리 국민 300여 명이 이르면 현지시간 10일 귀국길에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구금된 국민들을 자진출국 형식으로 데려오기 위해 미국 측과 남은 협의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비자 문제로 미국 이민당국에 체포, 구금된 300여 명의 한국인 노동자들, 이르면 현지시간 10일 전세기를 타고, 귀국길에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녹취> 이재웅 / 대변인
"현지시간 9월 10일 수요일 우리 전세기가 미국을 출발하는 것을 목표로 외교부 등 우리 정부와 관계 기업 및 항공사 측이 최선의 노력을 다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모든 준비가 끝나고 출발시점이 확정되는 대로 구체 계획을 추후 발표할 예정입니다."
전세기는 300명 이상 한 번에 탑승할 수 있는 대형 여객기로 알려졌습니다.
전세기 비용은 관련 기업 측에서 부담할 예정입니다.
이번 일정에는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이 동행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외교부 신속대응팀도 현지시간 8일 미국 애틀란타에 먼저 도착해 현장에서 우리 국민 귀국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조현 외교부 장관도 미국 워싱턴DC에서 미 행정부 고위인사들을 만나 사태 해결을 위한 협의에 나섰습니다.
구금된 한국인 노동자들은 '자진출국' 형식으로 석방, 귀국합니다.
정부는 한미 양국은 우리 국민 전원을 자진출국 형태로 가장 빠른 시일 내 귀국시키기 위한 세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전원이 '자진출국'을 택할지는 개인별로 의사를 확인 중입니다.
(영상취재: 한기원 / 영상편집: 김세원)
한편, 외교부 당국자는 영사면담을 진행한 인원 중 건강에 문제가 있거나 구금 환경에 문제를 제기한 경우는 없었고, 인권 침해를 보고받은 바도 없다고 말했습니다.
KTV 문기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790회) 클립영상
- 구금 한국인 귀국준비 착수···이르면 10일 전세기 운항 01:49
- "미 구금사태 큰 책임감···신속히 제도 개선" 02:28
- 수업 중 스마트폰 사용, 내년 3월부터 법으로 금지 01:40
- 대통령실 브리핑 - 인선 관련 02:26
- 중앙선관위원 위철환·국민통합위원장 이석연 내정 02:24
- 2025 서울안보대화···"강력한 억제력·긴장완화 추진" [뉴스의 맥] 04:09
- 공교육비 지출 24.9%↑···청년 고등교육 이수율 OECD 1위 02:14
- KDI "경기 부진 완화 흐름"···대미 수출 8.1% 감소 02:28
- 관세 지원정책 신속 안착 추진···신흥시장 진출 지원 02:04
- 연이은 해킹사고···개인정보 불법유통 집중 점검 02:00
- 국내 ETF 투자 열풍···"상품 특성·투자 위험 살펴야" 02:31
- 찾아가는 이동식 마트···'식품 사막' 농촌에 단비 02:19
- '세계 최경량' 무릎 보조 로봇···"더 가볍고 더 편하게" 02:38
- '노란봉투법' 시행일 확정···내년 3월 10일 00:30
- 허브 오일 제품, 알레르기 유발성분에 주의해야 01:08
- 검역본부, 추석 명절 대비 도축장 위생관리 특별점검 00:32
- 빈번한 분쟁조정 사례 웹툰으로 쉽게 알린다 00:42
- 조선의 약방에서 즐기는 궁중다과, '창덕궁 약다방' 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