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중국산 무선청소기 '눈속임 광고'···흡입력 단위 살펴야
등록일 : 2025.09.18 20:31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요즘 무선청소기 많이들 쓰시죠.
그런데 흡입력을 나타내는 단위가 제품마다 달라, 확인이 필요합니다.
일부 중국산 제품은 흡입 성능과는 관련 없는 '진공도'의 단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최유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유경 기자>
사용이 편리해 수요가 늘고 있는 무선청소기.
핵심 성능으로 '흡입력'이 꼽힙니다.
그런데 제품마다 표시된 흡입력 단위가 달라, 구매 시 꼼꼼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한국소비자원이 시중 판매되는 10개 제품별 흡입력을 시험하고, 표시 내용을 조사했습니다.
이들 가운데 삼성과 LG전자는 국제표준 단위인 와트(W)를, 다이슨과 드리미는 미국재료시험협회 표준인 에어와트(AW)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반면 샤오미, 로보락 등 6개 제품은 진공도 단위인 파스칼(Pa)을 흡입력으로 표시하고 있었습니다.
파스칼 단위를 적용한 제품은 모두 중국산이었습니다.
파스칼은 제품의 내부 기압 상태인 '진공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외부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 성능과는 사실상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와트와 에어와트는 십 또는 백의 자릿값으로 표시되는 반면 파스칼은 만의 자릿값을 가지기 때문에, 소비자가 파스칼로 표시된 제품 성능이 더 좋은 것으로 오인할 수 있는 겁니다.

녹취> 허민수 / 소비자원 스마트제품시험국 책임연구원
"파스칼(Pa)단위의 진공도를 흡입력으로 표시 광고한 6개 제품의 경우 표시값은 1만8천에서 4만8천Pa이었으나, 실제 흡입력은 58에서 160W로 측정됐습니다. 시험 결과 Pa 단위로 표시된 제품은 신뢰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원은 무선청소기 제조·수입업체에 이번 성능 시험 결과를 공유하고, 흡입력 표시의 개선을 권고했습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흡입력을 통일된 단위로 비교할 수 있도록 내년 초까지 국제표준(IEC)이 반영된 국가표준(KC)을 제정할 계획입니다.
(영상제공: 소비자원 /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강은희)

KTV 최유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797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