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통상본부장 "한국·일본 다르다 설명"···철강업계 지원 강화
등록일 : 2025.09.19 20:25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무역협상을 위해 미국을 방문했던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귀국했습니다.
여 본부장은 한국과 일본은 다르다는 점을 미국에 최대한 설명했다고 전했습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벼랑 끝에 몰린 철강업계를 만나 애로사항을 듣고 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한미 무역 협상 후속 협의를 위해 미국을 방문했던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오늘(19일) 새벽 귀국했습니다.
여 본부장은 방미 기간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와 의회 주요 인사를 만나 전반적인 협상 상황과 한국 측 비자 문제 해결 방안을 협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한미 양국은 상호 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각각 낮추고, 한국이 3천500억 달러 대미 투자를 하는 내용으로 무역 협상을 타결했습니다.
하지만 수익 배분 등 구체적 이행 방안에 대해 이견을 보이며 후속 협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여 본부장은 "일본과 한국은 다르다는 점을 객관적 자료와 분석으로 미국을 최대한 설득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미국 이민 당국이 한국인을 대거 구금 한 사건과 관련해서도 "미국 측도 사태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있다"며 "비자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미국 측의 무리한 요구를 급하게 받지 않겠다는 입장으로 신중히 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녹취> 이재명 대통령
"대한민국 국익에 반하는 결정은 절대 하지 않는다. 합리성과 공정성을 벗어난 협상도 하지 않는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중국 발 공급과잉과 미국 정부의 관세 폭탄 등으로 다중고를 겪고 있는 철강 업계를 만났습니다.
김 장관은 "대미 관세 협상에서 철강 관세 면제를 강하게 요구했지만, 관철이 어려웠다"며 업계의 이해를 구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 측과 관세 완화 협의를 지속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관세 후속 지원 대책 이행과 우회덤핑 등 불공정 수입재 방어를 적극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미국이 부과하는 50% 고율 관세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철강 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철강 수출 공급망 강화 보증상품을 신설하기로 했습니다.
약 4천억 원 규모로 철강 기업과 금융권, 정책금융기관이 마련할 계획입니다.
김 장관은 이어 철강 업계 어려움을 언급하며 국내외 공급과잉 문제에 대해서는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며 품목별 대응 방향을 검토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