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청년 정책 체감도 높인다···'소통 플랫폼' 마련 [뉴스의 맥]
등록일 : 2025.09.22 19:58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정부가 청년 정책 전반의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취재기자와 좀 더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박지선 기자, 이번 정책을 보면 그동안 저소득 일부 청년에게만 집중됐던 지원책이 청년 전반으로 확대됐습니다.
일반 청년들에게도 녹록지 않은 현실이 반영된 것 같은데, 어떤가요?

박지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실제 주요 지표를 보면요.
29세 이하 청년 실업률은 지난달 기준 4.9%로 전년 대비 올랐습니다.
고용률은 떨어지면서 전반적인 고용 여건이 악화하는 모습입니다.
구직 활동을 아예 하지 않는 청년 규모도 2022년 이후부터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졸업 후 첫 취업을 하기까지 취업 준비 기간은 지난해 기준 11개월이 넘는데요.
정부는 청년들의 사회 진출이 늦어지면서 결혼, 출산 등 사회 전체 활력에도 영향을 준다고 보고 이를 실질적으로 개선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정부 설명 들어보시죠.

녹취> 윤창렬 / 국무조정실장
"정부는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첫걸음을 내딛고 스스로 힘으로 자립하여 정책의 주체로 당당히 성장할 수 있도록 청년들 곁에서 함께하겠습니다."

모지안 앵커>
사실 청년 정책은 이전에도 꾸준히 있었지만 실제 개선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드물었는데, 이번 대책에선 좀 달라진 점이 있나요?

박지선 기자>
정부가 본격적으로 청년정책을 별도로 마련한 건 2020년 청년 기본법 제정되면서인데요.
일자리, 주거, 교육 등을 망라한 범정부 청년 종합대책을 수립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앞서 주요 지표에서 보듯 청년들의 현실이 실질적으로 개선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운데요.
정부도 이 점에 공감하고 청년 정책의 질적 제고를 위해 힘쓴다는 방침입니다.
먼저 정책 수혜 대상을 저소득, 취약 청년에만 국한하지 않고 일반 청년 전체로 넓혀 보편적 청년 정책을 본격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단순히 연령 차원의 접근이 아닌 생애주기를 지원해 실효성을 높인다는 방침입니다.
사회 진입부터 노동시장 안착, 주거 등 자립기반 마련까지 지원정책을 연계하는 겁니다.

모지안 앵커>
청년 정책이 실효성이 있으려면 무엇보다 청년들 목소리가 잘 반영되어야 할 텐데요.
청년들이 정책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됐다고요?

박지선 기자>
네, 먼저 청년들이 청년 정책과 국가 주요 이슈를 논의할 수 있도록 청년과의 국정 대화, 소통 플랫폼을 운영합니다.
특히 일자리, 주거, 교육 등 핵심 정책에서 청년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전국 권역별 청년 총회를 개최한다는 방침입니다.
청년들이 직접 구체적인 사업을 제안하는 전문위원회도 국무조정실에 마련됩니다.
주거, 일자리 등 주요 정책 6개 분과로 구성됩니다.
현재 정부 소속 위원회에 청년 위원 비율이 10% 정도인데요.
청년 위원 위촉을 더욱 확대해 정책 결정 과정에 청년 참여를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또 온라인에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나이, 소득, 지역 등을 입력하면 맞춤형 청년 정책을 추천해주는 플랫폼도 구축할 예정입니다.

모지안 앵커>
네, 지금까지 청년 정책 주요 내용 살펴봤습니다.
박지선 기자, 잘 들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