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경제블럭 탄생
등록일 : 2007.04.05
미니플레이
한미FTA 협상이 타결되면서 이웃나라 일본과 중국이 부산스러워졌습니다.
이들 나라가 이처럼 크게 긴장하는 이유, 바로 세계 3대 경제블럭이 탄생하기 때문입니다.
박영일 기자>
현재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경제 블럭은 영국과 프랑스 등 25개국이 참여한 유럽연합.
이들 국가는 회원국간 교역에서 관세장벽을 철폐한 자유무역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경제규모로 보면 15조 3천억 달러에 달합니다.
다음으로 지난 94년 발효된 북미자유무역협정 NAFTA.
이를 통해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3개 나라는 경제규모 15조 천억 달러의 경제블럭권을 만들어냈습니다.
한미FTA를 통해 한미 양국이 만들어내는 경제블럭의 경제규모는 14조 천억 달러에 달합니다.
이웃나라 일본과 중국이 한미FTA 체결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도 바로 여기 있습니다.
한미FTA로 인해 우리나라는 수입규모 1조 7천억 달러인 미국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져, 경쟁국인 일본이나 중국보다 시장경쟁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농업 등 일부 분야에서는 직접적인 피해도 우려되지만, 생산을 특성화하고 품질 경쟁력을 키워나간다면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동전에 양면이 있듯이 개방에도 양면이 있습니다.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정적인 효과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앞으로의 과제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들 나라가 이처럼 크게 긴장하는 이유, 바로 세계 3대 경제블럭이 탄생하기 때문입니다.
박영일 기자>
현재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경제 블럭은 영국과 프랑스 등 25개국이 참여한 유럽연합.
이들 국가는 회원국간 교역에서 관세장벽을 철폐한 자유무역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경제규모로 보면 15조 3천억 달러에 달합니다.
다음으로 지난 94년 발효된 북미자유무역협정 NAFTA.
이를 통해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3개 나라는 경제규모 15조 천억 달러의 경제블럭권을 만들어냈습니다.
한미FTA를 통해 한미 양국이 만들어내는 경제블럭의 경제규모는 14조 천억 달러에 달합니다.
이웃나라 일본과 중국이 한미FTA 체결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도 바로 여기 있습니다.
한미FTA로 인해 우리나라는 수입규모 1조 7천억 달러인 미국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져, 경쟁국인 일본이나 중국보다 시장경쟁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농업 등 일부 분야에서는 직접적인 피해도 우려되지만, 생산을 특성화하고 품질 경쟁력을 키워나간다면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동전에 양면이 있듯이 개방에도 양면이 있습니다.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정적인 효과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앞으로의 과제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315회) 클립영상
- 연내 비준 바람직 48:20
- FTA 안전망 마련 48:20
- 3대 경제블럭 탄생 48:20
- 한중FTA 예고 48:20
- 원자바오 총리, `한국과 FTA 희망 48:20
- 美 조달시장 활짝 48:20
- `한미FTA 협정 개성공단 명확히 포함` 48:20
- 한미FTA 한눈에 48:20
- `한미FTA 핵심은 산업구조 고도화` 48:20
- `FTA 따른 제도 변경, 양보 아닌 선진화` 48:20
- 美 언론들, `의회 한미FTA 비준` 촉구 48:20
- 미국, `쇠고기 개방 안하면 FTA 서명 못해` 48:20
- 북악산 시민 품으로 48:20
- 한-중 핫라인 48:20
- 책임정치 기반마련 48:20
- 개헌발의안, 17일 국무회의 상정 48:20
- 특성화로 승부 48:20
- 경쟁력 강화가 관건 48:20
- 분양.입주권 거래 허위신고해도 처벌 48:20
- 세금체납 1천117명, 2천720억원 추징 48:20
- 도로만 알면 돼요! 48:20
- 행정도시 부대사업, 주민단체에 위탁 가능 48:20
- 보육시설 보조금 사업 등 심층 재검토 48:20
- 노무현대통령, 총리 비서실장 내정 48:20
- 영상뉴스 48:20
- 산업자원부 브리핑 48:20
- 재정경제부 브리핑 4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