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소득 45세 정점···61세부터 적자로 돌아서
등록일 : 2025.09.25 20:48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우리 국민 소득이 45세에 최고점에 이르고, 61세부터 다시 적자로 돌아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 전체의 '생애주기적자'도 지난 2023년 사상 처음으로 200조 원을 넘어섰는데요.
통계청 조사 결과를 김유리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김유리 기자>
소비에서 노동 소득을 뺀 금액을 뜻하는 '생애주기적자'.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국민이전계정'을 보면 우리 국민의 생애주기 가운데 소비는 16세 때 가장 많았습니다.
28세부터는 소비보다 노동소득이 많아지면서 흑자로 돌아서고, 45세에 흑자의 정점을 찍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후 소비가 노동 소득보다 많아지는 61세부터 다시 적자 상태가 되는 3단계 구조를 보였습니다.
전화인터뷰> 임경은 / 통계청 경제통계기획과장
"유년층에서 나타나는 적자의 형태는 보통 교육비가 민간이나 공공소비를 통해서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이고요. (고령층에서는) 보건 소비가 특히 많기 때문에 적자를 나타내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눈에 띄는 부분은 적자 재진입 시기가 늦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2010년도 56세이던 적자 전환 시기가 2023년에는 61세로 5년 늦춰졌습니다.
2023년 국민 전체의 생애주기적자 총액은 전년보다 약 16% 늘어난 226조4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200조 원을 넘어선 겁니다.
통계청은 적자가 크게 늘어난 원인을 노동 소득보다 소비의 증가폭이 더 컸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김유리입니다.
우리 국민 소득이 45세에 최고점에 이르고, 61세부터 다시 적자로 돌아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 전체의 '생애주기적자'도 지난 2023년 사상 처음으로 200조 원을 넘어섰는데요.
통계청 조사 결과를 김유리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김유리 기자>
소비에서 노동 소득을 뺀 금액을 뜻하는 '생애주기적자'.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국민이전계정'을 보면 우리 국민의 생애주기 가운데 소비는 16세 때 가장 많았습니다.
28세부터는 소비보다 노동소득이 많아지면서 흑자로 돌아서고, 45세에 흑자의 정점을 찍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후 소비가 노동 소득보다 많아지는 61세부터 다시 적자 상태가 되는 3단계 구조를 보였습니다.
전화인터뷰> 임경은 / 통계청 경제통계기획과장
"유년층에서 나타나는 적자의 형태는 보통 교육비가 민간이나 공공소비를 통해서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이고요. (고령층에서는) 보건 소비가 특히 많기 때문에 적자를 나타내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눈에 띄는 부분은 적자 재진입 시기가 늦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2010년도 56세이던 적자 전환 시기가 2023년에는 61세로 5년 늦춰졌습니다.
2023년 국민 전체의 생애주기적자 총액은 전년보다 약 16% 늘어난 226조4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200조 원을 넘어선 겁니다.
통계청은 적자가 크게 늘어난 원인을 노동 소득보다 소비의 증가폭이 더 컸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김유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802회) 클립영상
- 월가서 한국 투자 설명회···전방위 세일즈 외교 02:10
- 이 대통령, 베센트 장관 면담···"상업적 합리성 바탕 논의" 02:26
- 이탈리아·폴란드 정상회담···"AI·방산 협력 발전" [뉴스의 맥] 03:08
- 지난해 사망자 약 36만 명···자살률 13년 만에 최대 01:56
- 1월 인구감소지역 '생활인구' 역대 최대···평균 체류 3.5일 02:45
- 국세청, '원가 부풀리기' 정조준···생활밀접 업종 세무조사 02:22
- '고교 학점제' 부담 낮춘다···최소 성취 보장지도 완화 02:28
- 집값 상승 기대 여전···"거시건전성 강화 필요" 01:52
- '외래객 3천만 시대' 연다···관광권 다변화 추진 02:59
- 도심 주차장을 택배 환적지로···기획형 규제샌드박스 과제 선정 02:21
- 국민 소득 45세 정점···61세부터 적자로 돌아서 01:46
- 선물세트 가격, 백화점서 더 높아···낱개보다 비싸기도 02:20
- 음주운전 은폐, 입원 중 택시영업 등은 명백한 자동차보험 사기로 단호히 거절하셔야 합니다! 01:02
- 정부는 국민 안전을 지키겠습니다. 안심하고 추석 연휴 보내세요! 00:50
- 농촌 왕진버스, 이제는 마음도 돌봅니다 00:46
- 2025년 책 읽는 대한민국, '독서는 여행, 독서모임은 동행' 00:56
- 교통·숙박 할인 받고 떠나자! ‘2025년 여행가는 가을’ 캠페인 [클릭K+] 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