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사망자 약 36만 명···자살률 13년 만에 최대
등록일 : 2025.09.25 20:46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지난해 사망자 수는 36만여 명으로, 네 명 중 한 명은 암으로 숨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자살률은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조태영 기자입니다.
조태영 기자>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 수는 35만8천569명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습니다.
이 중 80세 이상 사망자가 가장 많은 54.1%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10년 전보다 15.3% 증가한 수치입니다.
사망원인 1위는 암입니다.
전체 사망자 중 24.8%를 차지했습니다.
뒤이어 심장질환 9.4%, 폐렴 8.4%였습니다.
자살률은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관련 사망자는 1만4천872명으로 전년보다 6.4% 늘었습니다.
지난해 10~40대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이었고, 50대에서는 2위였습니다.
녹취> 박현정 /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OECD 연령표준화 자살률 평균값은 (10만 명당) 10.8명입니다. 우리나라의 2024년 자살률은 29.1명, OECD 연령구조기반으로 산출한 표준화 자살률은 26.2명으로..."
치매로 숨진 사람은 1만4천978명으로, 전년보다 5.1% 늘었습니다.
알코올 관련 사망자는 4천823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5.1배 많았습니다.
코로나19 사망자는 3천208명으로, 이 가운데 80세 이상이 72.2%를 차지했습니다.
한편 출생 후 1년 이내 사망한 영아는 564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임신 28주 이상 태아와 생후 7일 미만 신생아 사망자는 546명이었습니다.
(영상취재: 고광현 / 영상편집: 정성헌 / 영상그래픽: 민혜정)
임신·분만 과정에서 숨진 모성사망자는 24명으로 나타났습니다.
KTV 조태영입니다.
지난해 사망자 수는 36만여 명으로, 네 명 중 한 명은 암으로 숨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자살률은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조태영 기자입니다.
조태영 기자>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 수는 35만8천569명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습니다.
이 중 80세 이상 사망자가 가장 많은 54.1%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10년 전보다 15.3% 증가한 수치입니다.
사망원인 1위는 암입니다.
전체 사망자 중 24.8%를 차지했습니다.
뒤이어 심장질환 9.4%, 폐렴 8.4%였습니다.
자살률은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관련 사망자는 1만4천872명으로 전년보다 6.4% 늘었습니다.
지난해 10~40대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이었고, 50대에서는 2위였습니다.
녹취> 박현정 /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OECD 연령표준화 자살률 평균값은 (10만 명당) 10.8명입니다. 우리나라의 2024년 자살률은 29.1명, OECD 연령구조기반으로 산출한 표준화 자살률은 26.2명으로..."
치매로 숨진 사람은 1만4천978명으로, 전년보다 5.1% 늘었습니다.
알코올 관련 사망자는 4천823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5.1배 많았습니다.
코로나19 사망자는 3천208명으로, 이 가운데 80세 이상이 72.2%를 차지했습니다.
한편 출생 후 1년 이내 사망한 영아는 564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임신 28주 이상 태아와 생후 7일 미만 신생아 사망자는 546명이었습니다.
(영상취재: 고광현 / 영상편집: 정성헌 / 영상그래픽: 민혜정)
임신·분만 과정에서 숨진 모성사망자는 24명으로 나타났습니다.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802회) 클립영상
- 월가서 한국 투자 설명회···전방위 세일즈 외교 02:10
- 이 대통령, 베센트 장관 면담···"상업적 합리성 바탕 논의" 02:26
- 이탈리아·폴란드 정상회담···"AI·방산 협력 발전" [뉴스의 맥] 03:08
- 지난해 사망자 약 36만 명···자살률 13년 만에 최대 01:56
- 1월 인구감소지역 '생활인구' 역대 최대···평균 체류 3.5일 02:45
- 국세청, '원가 부풀리기' 정조준···생활밀접 업종 세무조사 02:22
- '고교 학점제' 부담 낮춘다···최소 성취 보장지도 완화 02:28
- 집값 상승 기대 여전···"거시건전성 강화 필요" 01:52
- '외래객 3천만 시대' 연다···관광권 다변화 추진 02:59
- 도심 주차장을 택배 환적지로···기획형 규제샌드박스 과제 선정 02:21
- 국민 소득 45세 정점···61세부터 적자로 돌아서 01:46
- 선물세트 가격, 백화점서 더 높아···낱개보다 비싸기도 02:20
- 음주운전 은폐, 입원 중 택시영업 등은 명백한 자동차보험 사기로 단호히 거절하셔야 합니다! 01:02
- 정부는 국민 안전을 지키겠습니다. 안심하고 추석 연휴 보내세요! 00:50
- 농촌 왕진버스, 이제는 마음도 돌봅니다 00:46
- 2025년 책 읽는 대한민국, '독서는 여행, 독서모임은 동행' 00:56
- 교통·숙박 할인 받고 떠나자! ‘2025년 여행가는 가을’ 캠페인 [클릭K+] 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