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돌봄서비스 확대···보육 인프라 확충
등록일 : 2025.09.27 09:55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내년부터 더 많은 가구가 정부의 아이돌봄서비스 지원을 받게 됩니다.
인구감소지역에 위치한 공동육아나눔터는 운영 시간이 연장됩니다.
윤현석 기자입니다.
윤현석 기자>
양육 공백이 발생한 가정에 돌보미를 지원하는 아이돌봄서비스.
내년부터 정부 지원 대상이 확대됩니다.
현행 12만 가구에서 12만6천 가구로 늘어납니다.
지원 기준도 기존의 중위소득 200% 이하에서 250% 이하까지 완화됩니다.
한부모와 조손가구에는 정부 지원 서비스 시간을 연 960시간에서 1천80시간으로 확대합니다.
인구 감소지역 이용 가정에는 본인부담금의 10%를 추가 지원합니다.
대상과 지역특성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는 겁니다.
보육 인프라 확충에도 나섭니다.
인구감소지역 등 보육 인프라가 부족한 지방 공동육아나눔터 20곳의 운영시간을 오후 6시에서 10시까지로 연장합니다.
취약계층과 위기가족 통합 지원사업을 수행하는 가족센터도 확대합니다.
원민경 여가부 장관은 서울 강북구 가족센터를 방문해 가족서비스 제공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녹취> 원민경 / 여성가족부 장관
"들려주실 많은 이야기들이 아이돌봄서비스와 공동육아나눔터 등 이후의 가족사업과 관련해서 저희 정책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 자리에서 종사자, 서비스 이용자와 소통한 원 장관은 현장 관계자의 목소리를 경청해 정책의 실효성과 효율성을 높여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제공: 여성가족부 / 영상편집: 최은석)
KTV 윤현석입니다.
내년부터 더 많은 가구가 정부의 아이돌봄서비스 지원을 받게 됩니다.
인구감소지역에 위치한 공동육아나눔터는 운영 시간이 연장됩니다.
윤현석 기자입니다.
윤현석 기자>
양육 공백이 발생한 가정에 돌보미를 지원하는 아이돌봄서비스.
내년부터 정부 지원 대상이 확대됩니다.
현행 12만 가구에서 12만6천 가구로 늘어납니다.
지원 기준도 기존의 중위소득 200% 이하에서 250% 이하까지 완화됩니다.
한부모와 조손가구에는 정부 지원 서비스 시간을 연 960시간에서 1천80시간으로 확대합니다.
인구 감소지역 이용 가정에는 본인부담금의 10%를 추가 지원합니다.
대상과 지역특성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는 겁니다.
보육 인프라 확충에도 나섭니다.
인구감소지역 등 보육 인프라가 부족한 지방 공동육아나눔터 20곳의 운영시간을 오후 6시에서 10시까지로 연장합니다.
취약계층과 위기가족 통합 지원사업을 수행하는 가족센터도 확대합니다.
원민경 여가부 장관은 서울 강북구 가족센터를 방문해 가족서비스 제공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녹취> 원민경 / 여성가족부 장관
"들려주실 많은 이야기들이 아이돌봄서비스와 공동육아나눔터 등 이후의 가족사업과 관련해서 저희 정책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 자리에서 종사자, 서비스 이용자와 소통한 원 장관은 현장 관계자의 목소리를 경청해 정책의 실효성과 효율성을 높여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제공: 여성가족부 / 영상편집: 최은석)
KTV 윤현석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 (502회) 클립영상
- 트럼프 "한국 대미투자 3천500억 달러 선불" 02:17
- 김 총리 "APEC 인프라 마무리단계···끝까지 최선" 02:00
- 해군 80주년 관함식···'정조대왕함' 등 해양 전력 과시 02:30
- '실거래가 띄우기' 의심 서울 아파트 425건 기획조사 01:48
- 1기 신도시 정비사업 본격화···7만 호로 확대 01:51
- 2분기 지역내총생산 0.4%↑···건설업 불황 지속 02:03
- 아이돌봄서비스 확대···보육 인프라 확충 01:38
- 구로역 사망·KTX 탈선···코레일에 과징금 15억 02:07
- 추석 성수품 공급···한우·돼지 20~50% 할인 02:20
- 노인 일자리 진화 거듭···"맞춤형 대책 강구해야" 02:23
- 지난해 장애인 학대 1천449건···재학대도 증가 01:58
- 10월 한 달간 불법어업 집중 관리 기간 운영 00:52
- 건군 77주년 국군의 날 기념 응원가 공개 00:49
- 국립고궁박물관, 조선 왕실문화 20년 연구 성과 공개 00:50
- 외국인 노동자가 온라인 또는 스마트폰으로 안전보건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다 0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