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견·하도급 근로자 100만 명 하회···건설 불황 영향
등록일 : 2025.09.29 17:49
미니플레이
신경은 앵커>
올해 파견과 하도급 등 대기업의 '소속 외 근로자'가 3년 만에 100만 명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건설 경기 불황으로, 건설업 고용이 부진한 영향이 컸습니다.
김경호 기자입니다.
김경호 기자>
올해 대기업의 소속 외 근로자는 94만9천 명으로 지난해보다 6만7천 명 줄었습니다.
파견, 하도급, 용역 등의 근로자가 3년 만에 100만 명 아래로 떨어진 겁니다.
건설 경기 부진의 영향으로 건설업에서 7만5천 명 감소한 영향이 컸습니다.
반면 운수창고업에서는 2만4천 명 증가했습니다.
녹취> 공미숙 / 통계청 사회통계국장
"8월 취업자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교육 서비스업, 부동산업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농림어업, 건설업, 제조업 등에서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습니다."
소속 외 근로자의 주요 업무는 청소와 경호, 경영, 운전 순으로 비중이 높았습니다.
대기업에서 직접 고용한 소속 근로자는 486만9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7천 명 늘었습니다.
계약 기간을 정하지 않은 정규직 근로자는 353만4천 명으로 7만1천 명 증가했습니다.
기간제 근로자는 133만6천 명, 단시간 근로자는 42만7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기간제와 단시간 근로자 모두 보건복지와 사업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습니다.
기간제와 단시간 근로자의 비중은 여성에서, 소속 외 근로자 비중은 남성에서 더 높았습니다.
소속과 소속 외 근로자를 모두 더한 공시 근로자 수는 581만9천 명으로 6만 명 늘었습니다.
공시 대상인 상시 근로자 300인 이상 기업도 4천176개로 119개 증가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김경호입니다.
올해 파견과 하도급 등 대기업의 '소속 외 근로자'가 3년 만에 100만 명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건설 경기 불황으로, 건설업 고용이 부진한 영향이 컸습니다.
김경호 기자입니다.
김경호 기자>
올해 대기업의 소속 외 근로자는 94만9천 명으로 지난해보다 6만7천 명 줄었습니다.
파견, 하도급, 용역 등의 근로자가 3년 만에 100만 명 아래로 떨어진 겁니다.
건설 경기 부진의 영향으로 건설업에서 7만5천 명 감소한 영향이 컸습니다.
반면 운수창고업에서는 2만4천 명 증가했습니다.
녹취> 공미숙 / 통계청 사회통계국장
"8월 취업자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교육 서비스업, 부동산업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농림어업, 건설업, 제조업 등에서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습니다."
소속 외 근로자의 주요 업무는 청소와 경호, 경영, 운전 순으로 비중이 높았습니다.
대기업에서 직접 고용한 소속 근로자는 486만9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7천 명 늘었습니다.
계약 기간을 정하지 않은 정규직 근로자는 353만4천 명으로 7만1천 명 증가했습니다.
기간제 근로자는 133만6천 명, 단시간 근로자는 42만7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기간제와 단시간 근로자 모두 보건복지와 사업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습니다.
기간제와 단시간 근로자의 비중은 여성에서, 소속 외 근로자 비중은 남성에서 더 높았습니다.
소속과 소속 외 근로자를 모두 더한 공시 근로자 수는 581만9천 명으로 6만 명 늘었습니다.
공시 대상인 상시 근로자 300인 이상 기업도 4천176개로 119개 증가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김경호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1910회) 클립영상
- 1등급 업무 44% 재가동···전소된 시스템 대구 이전 01:53
- 우체국 금융 서비스 재개···편지·소포 접수도 가능 02:11
- 내일 부산서 한일 정상회담···"셔틀외교 정착" 02:16
- 추석 연휴 3천218만 명 이동···11일 간 특별교통관리 02:35
- 할인지원·소비쿠폰 배포···전통시장 대목 활기 02:01
- 추석 연휴 각종 감염병 '주의'···예방법은? 02:15
- 고령층, ICT 활용 급증···외모 관리 등 활동성도 증가 01:53
- 파견·하도급 근로자 100만 명 하회···건설 불황 영향 01:43
- 제1차 한미 비자 관련 워킹그룹 회의 30일 개최 00:33
- 내일부터 성실 상환자 370만 명 '신용 회복' 00:36
- 오늘부터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00:30
- 러, 키이우 공습···최소 4명 사망 [글로벌 핫이슈] 06:52
- 2차 소비쿠폰 신청 일주일···전통시장 기대감 상승 [오늘의 이슈] 03:43
- 협상력 UP 위약금 DOWN···가맹점 소상공인 숨통 트나 [경제&이슈] 21:17
- 전남 해남군 일지암 [함께힐링] 0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