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ICT 활용 급증···외모 관리 등 활동성도 증가
등록일 : 2025.09.29 17:49
미니플레이
신경은 앵커>
고령층의 생활 모습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이나 PC 이용 시간이 증가했고, 건강 관리에 쏟는 시간도 늘어났습니다.
조태영 기자입니다.
조태영 기자>
통계청의 2024년 생활시간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의 97.2%가 미디어를 이용해 여가를 즐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최근 5년 사이 고령자의 실시간 방송시청 시간은 평균 2분 줄었지만, 동영상 시청은 16분가량 대폭 늘었습니다.
스마트폰 등 ICT 기기 사용 시간은 총 1시간 39분으로 5년 전보다 1시간 넘게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여가 활동에 1시간 11분을 썼고, 의무 활동 23분, 필수 활동 5분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일·건강 관리 등 활동 전반도 확대됐습니다.
전화 인터뷰> 김지은 / 통계청 사회통계기획과장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65세 이상 고령자라고 하는 그룹이 상당히 젊고 건강하고 활동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점인데요. 2024년 기준 고령자 일한 시간은 5년 전 대비 증가했고, 고용률도 상승했습니다. 또한 외모 관리와 자기 건강관리 시간이 늘고, 병원에 실제 가는 의료서비스 받은 시간은 줄어들었습니다."
고령인구 고용률은 2015년 30.4%에서 지난해 38.2%로 매년 증가 추세입니다.
고령자가 일한 시간은 하루 1시간 33분으로 5년 전보다 5분 증가했습니다.
개인위생과 외모관리 시간은 평균 1시간 27분으로 5년 전 대비 6분 늘었습니다.
의료서비스 받은 시간은 평균 7분으로 5분가량 줄었습니다.
한편 올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천51만4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사상 처음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면서,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됐습니다.
통계청은 고령인구 비중이 2036년 30%, 2050년 40%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조태영입니다.
고령층의 생활 모습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이나 PC 이용 시간이 증가했고, 건강 관리에 쏟는 시간도 늘어났습니다.
조태영 기자입니다.
조태영 기자>
통계청의 2024년 생활시간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의 97.2%가 미디어를 이용해 여가를 즐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최근 5년 사이 고령자의 실시간 방송시청 시간은 평균 2분 줄었지만, 동영상 시청은 16분가량 대폭 늘었습니다.
스마트폰 등 ICT 기기 사용 시간은 총 1시간 39분으로 5년 전보다 1시간 넘게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여가 활동에 1시간 11분을 썼고, 의무 활동 23분, 필수 활동 5분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일·건강 관리 등 활동 전반도 확대됐습니다.
전화 인터뷰> 김지은 / 통계청 사회통계기획과장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65세 이상 고령자라고 하는 그룹이 상당히 젊고 건강하고 활동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점인데요. 2024년 기준 고령자 일한 시간은 5년 전 대비 증가했고, 고용률도 상승했습니다. 또한 외모 관리와 자기 건강관리 시간이 늘고, 병원에 실제 가는 의료서비스 받은 시간은 줄어들었습니다."
고령인구 고용률은 2015년 30.4%에서 지난해 38.2%로 매년 증가 추세입니다.
고령자가 일한 시간은 하루 1시간 33분으로 5년 전보다 5분 증가했습니다.
개인위생과 외모관리 시간은 평균 1시간 27분으로 5년 전 대비 6분 늘었습니다.
의료서비스 받은 시간은 평균 7분으로 5분가량 줄었습니다.
한편 올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천51만4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사상 처음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면서,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됐습니다.
통계청은 고령인구 비중이 2036년 30%, 2050년 40%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1910회) 클립영상
- 1등급 업무 44% 재가동···전소된 시스템 대구 이전 01:53
- 우체국 금융 서비스 재개···편지·소포 접수도 가능 02:11
- 내일 부산서 한일 정상회담···"셔틀외교 정착" 02:16
- 추석 연휴 3천218만 명 이동···11일 간 특별교통관리 02:35
- 할인지원·소비쿠폰 배포···전통시장 대목 활기 02:01
- 추석 연휴 각종 감염병 '주의'···예방법은? 02:15
- 고령층, ICT 활용 급증···외모 관리 등 활동성도 증가 01:53
- 파견·하도급 근로자 100만 명 하회···건설 불황 영향 01:43
- 제1차 한미 비자 관련 워킹그룹 회의 30일 개최 00:33
- 내일부터 성실 상환자 370만 명 '신용 회복' 00:36
- 오늘부터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00:30
- 러, 키이우 공습···최소 4명 사망 [글로벌 핫이슈] 06:52
- 2차 소비쿠폰 신청 일주일···전통시장 기대감 상승 [오늘의 이슈] 03:43
- 협상력 UP 위약금 DOWN···가맹점 소상공인 숨통 트나 [경제&이슈] 21:17
- 전남 해남군 일지암 [함께힐링] 0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