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비자 워킹그룹' 출범···B1·ESTA로 장비 설치 가능
등록일 : 2025.10.02 08:03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미국 비자제도 개선 논의를 위한 한미 워킹그룹이 공식 출범했습니다.
B1비자와 ESTA로도 우리나라 근로자들이 미국에서 장비 설치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재확인했습니다.
김유리 기자입니다.
김유리 기자>
지난달 발생한 미국 이민 당국의 한국인 대규모 구금 사태.
한국 전문 인력의 미국 입국을 위한 비자 문제가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녹취> 조 현 / 외교부 장관 (지난 9월 12일)
"새로운 비자 카테고리를 만드는 것, (그리고) 주한미국대사관에서 별도의 데스크를 설치한다든지 이런 것들을 모두 포함해서 논의할 수 있는..."
한미 양국은 미국 비자제도 개선 논의를 위해 '한-미 상용방문·비자 워킹그룹'을 공식 출범하고 1차 협의를 진행했습니다.
회의에는 정기홍 재외국민 보호·영사담당 정부 대표와 케빈 김 국무부 동아태국 고위 관리가 양측 수석대표로 각각 참석했습니다.
한미 양국은 유사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해 주한미국대사관에 '전담 데스크'를 설치하는 데 합의했습니다.
대미 투자를 하는 한국 기업들의 비자 문제 관련 전담 소통 창구인 셈입니다.
외교부는 해당 전담 데스크를 "이달 중 가동할 예정이며, 상세한 내용은 미 측인 주한미대사관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회의 결과 양국은 단기 상용 비자인 B1 비자로 가능한 활동 범위도 명확히 했습니다.
외교부는 미 측이 대미 투자 과정에서 구매 장비의 설치와 점검, 보수 활동을 위해 B-1 비자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ESTA로도 B1 비자와 동일한 활동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B1 비자와 ESTA 관련 내용은 미측이 조만간 관련 대외 창구를 통해 공지하기로 했습니다.
앞서 조지아주 공장에서 체포된 한국인 근로자 대다수가 B1, B2 비자 또는 ESTA를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유사 사태가 재발하지 않기 위한 조치로 풀이됩니다.
양국은 조속한 시일 내 차기 회의를 개최해, 비자 문제 개선을 위한 협의를 지속 추진할 방침입니다.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손윤지)
KTV 김유리입니다.
미국 비자제도 개선 논의를 위한 한미 워킹그룹이 공식 출범했습니다.
B1비자와 ESTA로도 우리나라 근로자들이 미국에서 장비 설치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재확인했습니다.
김유리 기자입니다.
김유리 기자>
지난달 발생한 미국 이민 당국의 한국인 대규모 구금 사태.
한국 전문 인력의 미국 입국을 위한 비자 문제가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녹취> 조 현 / 외교부 장관 (지난 9월 12일)
"새로운 비자 카테고리를 만드는 것, (그리고) 주한미국대사관에서 별도의 데스크를 설치한다든지 이런 것들을 모두 포함해서 논의할 수 있는..."
한미 양국은 미국 비자제도 개선 논의를 위해 '한-미 상용방문·비자 워킹그룹'을 공식 출범하고 1차 협의를 진행했습니다.
회의에는 정기홍 재외국민 보호·영사담당 정부 대표와 케빈 김 국무부 동아태국 고위 관리가 양측 수석대표로 각각 참석했습니다.
한미 양국은 유사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해 주한미국대사관에 '전담 데스크'를 설치하는 데 합의했습니다.
대미 투자를 하는 한국 기업들의 비자 문제 관련 전담 소통 창구인 셈입니다.
외교부는 해당 전담 데스크를 "이달 중 가동할 예정이며, 상세한 내용은 미 측인 주한미대사관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회의 결과 양국은 단기 상용 비자인 B1 비자로 가능한 활동 범위도 명확히 했습니다.
외교부는 미 측이 대미 투자 과정에서 구매 장비의 설치와 점검, 보수 활동을 위해 B-1 비자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ESTA로도 B1 비자와 동일한 활동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B1 비자와 ESTA 관련 내용은 미측이 조만간 관련 대외 창구를 통해 공지하기로 했습니다.
앞서 조지아주 공장에서 체포된 한국인 근로자 대다수가 B1, B2 비자 또는 ESTA를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유사 사태가 재발하지 않기 위한 조치로 풀이됩니다.
양국은 조속한 시일 내 차기 회의를 개최해, 비자 문제 개선을 위한 협의를 지속 추진할 방침입니다.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손윤지)
KTV 김유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7 (505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불법 계엄 잔재 청산···자주국방은 필연" 03:02
- 대중문화교류위 출범···"미래 핵심산업 도약 지원" 02:22
- 정부 시스템 복구율 15.6%···현장상황실 설치 01:51
- '한미 비자 워킹그룹' 출범···B1·ESTA로 장비 설치 가능 02:21
- 한미 재무당국, 환율정책 합의···월별 시장안정조치 공유 01:57
- 9월 수출 역대 최대···42개월 만에 최고치 경신 02:37
- 한강벨트 30억 이상 주택거래 전수검증 01:42
- 추석 연휴 413개 응급의료기관 24시간 운영 02:14
- 일주일의 '황금 연휴'···국내 여행 떠나볼까 02:18
- 성수품 가격 안정세···1~5일 온누리상품권 환급 [뉴스의 맥] 04:12
- 장애인 의무고용률 민간 3.5%·공공 4.0%로 상향 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