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5년 APEC 정상회의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내일 연결, 혁신, 번영

공통뷰

빈 건축물 관리 강화···정비 사업 활성화
등록일 : 2025.10.02 18:05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정부가 방치된 빈 건축물 정비에 나섭니다.
철거하면 세금을 감면해 주고, 활용도 높은 곳은 도시 정비사업과 연계해 나갈 계획인데요.
보도에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주인이 떠난 채 방치된 빈집이나 빈 건축물은 전국에 약 19만5천 채입니다.
이러한 빈 건물들이 지역 쇠퇴를 가속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정부가 종합 정비 방안을 내놓았습니다.
먼저 '빈 건축물 정비 특별법'을 제정합니다.
현재 여러 법령에 산재 된 관련 규정 탓에 관리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현행 소규모정비법상 빈집으로 정의되는 1년 이상 미거주, 미사용 주택 외에 20년 이상 노후 비주택과 공사중단 건축물도 빈 건축물에 넣기로 했습니다.
또 1년 단위의 현황조사도 추가해 건물의 노후도를 파악해 나갈 방침입니다.
다른 용도로 활용이 어려운 빈 건축물은 철거하기로 했습니다.
빈 건축물 주인에게는 관리 의무를 부과하고, 조치에 따르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 부과 등 경제적 제재를 하기로 했습니다.
반면 자발적인 철거에 나설 경우 해당 토지의 재산세를 5년 동안 절반만 부과합니다.
건물을 철거한 땅에 3년 내 새 건축물을 지을 경우에는 취득세를 최대 50% 감면할 방침입니다.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되는 경우 지자체의 철거명령이 의무화됩니다.
소유주가 이를 따르지 않으면 지자체가 철거 후 그 비용을 소유주에게 구상권을 청구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정우진 / 국토교통부 도시정책관
"민간이 개발 사업 추진 시 사업구역 외에 빈 건축물 철거 비용을 기부채납으로 인정해 용적률을 완화하고, 빈집 철거 사업 등 공공사업도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활용도 높은 빈 건축물은 정비 사업과 연계를 강화합니다.
소규모정비법상 빈집밀집구역을 빈 건축물 정비 촉진지역으로 개편합니다.
또 기존 빈 건축물을 용도제한 없이 숙박이나 상업 시설로 활용할 수 있는 '도시채움시설' 제도를 새로 도입할 예정입니다.
여기에 더해 빈 건축물을 거래하고, 관리할 네트워크도 구축합니다.
주택도시기금을 활용해 특수목적법인인 빈 건축물 허브를 설립하고, 빈집과 정비 실적 현황을 제공하는 한국부동산원의 빈집애(愛)도 개편됩니다.
이를 통해 빈 건축물 거래와 상담을 지원하고, 빈 건축물 관리업을 신규 부동산 서비스 업종으로 도입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박남일 /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