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5년 APEC 정상회의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내일 연결, 혁신, 번영

공통뷰

깜빡한 내 돈 찾자!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캠페인 [클릭K+]
등록일 : 2025.10.14 20:03
미니플레이
신경은 기자>
혹시 옷장 정리하다 이전에 넣어뒀던 지폐를 발견한 적 있으신가요?
큰 금액이 아니더라도 예상치 못한 곳에서 돈이 발견된다면 무척 반가우실 텐데요, 공돈처럼 느껴지는 이런 돈, 금융회사에도 흩어져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른바 잠자는 돈이 올해 6월 말 기준 18조 원에 달한다고 하는데요, 이에 정부가 고객이 찾아가지 않고 금융권에 잠들어 있는 '숨은 금융자산'을 찾아주는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만기 후 일정 기간 동안 거래가 없는 적금통장, 만기 후 수령 하지 않은 보험금, 장기간 쌓여 있는 카드포인트, 주식 투자 후 증권 계좌에 남아 있는 예탁금 등이 해당됩니다.
그렇다면 나에게도 숨은 금융자산이 있는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의 '내 계좌 한눈에'를 이용하면 되는데요, 별도의 가입절차 없이 간단한 본인인증만 거치면 은행, 제2금융권, 증권사의 계좌 및 카드, 보험과 대출 정보까지 전 금융권에 대해 일괄 조회가 가능합니다.
또, ‘업권별 계좌 조회 및 관리’ 메뉴에서는 유관기관과 금융협회가 운영하는 숨은 금융자산 조회 사이트를 모아두어, 필요한 경우 개별 조회가 가능한데요, 특히, 보험사에 청구하지 않은 보험금이나 증권사 배당금 등 일부 자산은 ‘내계좌 통합조회’에서 바로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업권별 계좌조회 및 관리’ 서비스에서 별도 조회해야 합니다.
모바일로 숨은 금융자산을 찾기 원하는 소비자들은 '어카운트인포' 앱을 활용하면 되는데요, 1년 이상 거래가 없는 잔고가 100만 원이 되지 않는다면, 예금이나 적금, 투자자예탁금, 신탁 계좌의 경우엔 즉시 환급받을 수 있고요, 내 카드 한눈에 메뉴를 통해 미사용 카드포인트도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은행, 보험사, 증권사 등 각 기관의 앱이나 고객센터에서도 조회가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이번 캠페인을 빙자한 피싱 사기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데요, 이메일, 문자로 주민등록증 사본, 계좌 비밀번호를 요구하거나 환급 수수료 명목으로 금전 이체를 요구하는 경우, 모두 사기입니다.
또, 출처 불분명한 URL은 피싱 가능성이 높으니 클릭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만약, 피해가 의심된다면 해당 금융회사 콜센터, 경찰청 또는 금융감독원에 즉시 전화해 확인하고, 피해 발생 시 계좌 지급정지 등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설마 내 계좌에 있는 돈을 내가 모를까?' 라고 생각하는 분이 계실 수도 있는데요, 예전 직장 계좌, 잠자고 있는 보험금, 포인트까지!
이번 숨은 금융자산 찾기 캠페인을 통해 숨은 자산이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클릭K 플러스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