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열질환자 4천460명···2018년 이후 역대 2위
등록일 : 2025.10.16 20:03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올여름 온열질환자가 4천 명을 넘어 역대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65세 이상 고령층이 전체의 30%를 차지해 온열질환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질병관리청이 올해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 운영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올 여름 온열 질환으로 신고된 환자는 4천46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보다 20.4% 증가한 수치로, 2018년 이후 역대 2위입니다.
온열 질환 추정 사망자는 29명이었습니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14.7% 감소하며, 역대 네 번째로 많았습니다.
온열질환자가 늘어난 주요 원인은 '폭염'이었습니다.
올해 7월 하순 평균 최고 기온은 33.9도로, 지난해보다 1.8도 높았습니다.
전체 온열질환자의 29%가 7월 하순에 발생했고, 사망자의 34.5%도 같은 시기에 집중됐습니다.
연령별로는 50대 환자가 19.4%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60대와 30대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65세 이상이 전체 환자의 30.1%를 차지했습니다.
전화인터뷰> 안윤진 / 질병관리청 기후보건·건강위해대비과장
"노년층은 체내 온도조절 기능이 약해져서 더위에 취약하게 되고요. 또 기저질환으로 약물을 복용하시는 경우에는 약물이 체온조절기능을 약화시키는 경우도 있어서 특히 온열질환에 취약하게 됩니다."
질환별로는 '열 탈진'이 62%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열사병, 열 경련, 열 실신 순이었습니다.
온열질환자 발생 장소는 실외가 79.2%로, 실내보다 3.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민혜정)
질병청은 취약계측을 위한 '맞춤형 예방 수칙'을 추가로 개발해 폭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TV 신경은입니다.
올여름 온열질환자가 4천 명을 넘어 역대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65세 이상 고령층이 전체의 30%를 차지해 온열질환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질병관리청이 올해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 운영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올 여름 온열 질환으로 신고된 환자는 4천46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보다 20.4% 증가한 수치로, 2018년 이후 역대 2위입니다.
온열 질환 추정 사망자는 29명이었습니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14.7% 감소하며, 역대 네 번째로 많았습니다.
온열질환자가 늘어난 주요 원인은 '폭염'이었습니다.
올해 7월 하순 평균 최고 기온은 33.9도로, 지난해보다 1.8도 높았습니다.
전체 온열질환자의 29%가 7월 하순에 발생했고, 사망자의 34.5%도 같은 시기에 집중됐습니다.
연령별로는 50대 환자가 19.4%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60대와 30대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65세 이상이 전체 환자의 30.1%를 차지했습니다.
전화인터뷰> 안윤진 / 질병관리청 기후보건·건강위해대비과장
"노년층은 체내 온도조절 기능이 약해져서 더위에 취약하게 되고요. 또 기저질환으로 약물을 복용하시는 경우에는 약물이 체온조절기능을 약화시키는 경우도 있어서 특히 온열질환에 취약하게 됩니다."
질환별로는 '열 탈진'이 62%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열사병, 열 경련, 열 실신 순이었습니다.
온열질환자 발생 장소는 실외가 79.2%로, 실내보다 3.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상편집: 조현지 / 영상그래픽: 민혜정)
질병청은 취약계측을 위한 '맞춤형 예방 수칙'을 추가로 개발해 폭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TV 신경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812회) 클립영상
- "기업활동 활성화로 경제회복···'규제 합리화'가 핵심" 02:18
- '지원·육성'으로 전환···바이오 심사 획기적 단축 02:21
- 정부 합동대응팀, 캄보디아 도착···'한국인 송환' 본격 협의 02:20
- 한미 관세협상 총력전···"협상 긍정적·외환시장 간극 좁혀" 02:08
- 한미 통화스와프·투자 관여권 보장 '쟁점' 02:59
- 시스템 복구율 46.8%···"1·2등급 시스템 이달 말 재개" 02:06
- KDI "건설업 위축 지속···소비 부진은 완화" 01:55
- 상생페이백 신청자 한 달 만에 천만 명 돌파 01:54
- "연내 입법 완료·신축 매입임대에 속도 낼 것" 02:22
- "심정지 후 장기 기증 추진"···첫 종합계획 발표 01:53
- 온열질환자 4천460명···2018년 이후 역대 2위 02:03
- '교대근무·상습 연장근로' 사업장 근로감독 02:04
- '2025 한복문화주간'···전통미와 현대적 감각의 만남 02:24
- "부여밤 라테 마셔볼까?"···기업·농가 상생 02:24
- 수험생 노린 '집중력 영양제' 허위 광고 점검 01:52
- 국립중앙과학관 80주년···19일까지 유료전시관 무료 0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