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 후 장기 기증 추진"···첫 종합계획 발표
등록일 : 2025.10.16 20:02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정부가 뇌사자로 한정된 장기기증자를 심정지 사망자까지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장기 기증 희망자가 정체된 가운데 이번 조치로 수급 불균형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정유림 기자>
장기기증과 이식에 관한 종합계획이 발표됐습니다.
앞으로 5년 동안 적용될 국가 차원의 첫 번째 종합대책입니다.
지금까지 뇌사자로 한정됐던 장기기증의 대상 범위가 심정지 사망까지 확대됩니다.
그동안 한국에서는 뇌사자의 장기기증만 허용됐습니다.
이로 인해 수급 불균형이 커진다는 지적이 있어 왔습니다.
현재 장기기증 희망등록자수는 정체중입니다.
지난해 기준 누적 183만여 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3.6%에 불과합니다.
뇌사 장기기증자 수는 지난해 397명에 그쳤는데, 전체 대기자의 1%도 채 되지 않습니다.
정부는 법 개정을 통해 연명 의료 중단 이후 심정지로 사망 판정을 받은 경우에도, 장기 기증이 가능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녹취> 이형훈 / 보건복지부 2차관
"연명의료 중단 후 심장사 한 기증희망자도 장기 기증할 수 있도록 법제화하여 기증은 확대하는 한편, 기증자 예우를 세심하게 강화하는 것을 중점 추진할 예정입니다."
기증자와 유가족 지원 강화를 위해 주요 병원에 '기억의 벽'을 설치하고, 감사패 수여와 추모행사를 확대합니다.
민간 중심의 장기 기증 희망자 등록을 건강보험공단, 주민센터 등 공공 영역으로 넓혀, 기증 희망 등록 기관을 460여 곳에서 2030년 9백여 곳으로 늘립니다.
(영상취재: 한기원 임주완 / 영상편집: 최은석)
이와 함께 신장과 간, 심장 등 16종의 장기 외에 이식 가능한 새 장기 지정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정부가 뇌사자로 한정된 장기기증자를 심정지 사망자까지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장기 기증 희망자가 정체된 가운데 이번 조치로 수급 불균형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정유림 기자>
장기기증과 이식에 관한 종합계획이 발표됐습니다.
앞으로 5년 동안 적용될 국가 차원의 첫 번째 종합대책입니다.
지금까지 뇌사자로 한정됐던 장기기증의 대상 범위가 심정지 사망까지 확대됩니다.
그동안 한국에서는 뇌사자의 장기기증만 허용됐습니다.
이로 인해 수급 불균형이 커진다는 지적이 있어 왔습니다.
현재 장기기증 희망등록자수는 정체중입니다.
지난해 기준 누적 183만여 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3.6%에 불과합니다.
뇌사 장기기증자 수는 지난해 397명에 그쳤는데, 전체 대기자의 1%도 채 되지 않습니다.
정부는 법 개정을 통해 연명 의료 중단 이후 심정지로 사망 판정을 받은 경우에도, 장기 기증이 가능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녹취> 이형훈 / 보건복지부 2차관
"연명의료 중단 후 심장사 한 기증희망자도 장기 기증할 수 있도록 법제화하여 기증은 확대하는 한편, 기증자 예우를 세심하게 강화하는 것을 중점 추진할 예정입니다."
기증자와 유가족 지원 강화를 위해 주요 병원에 '기억의 벽'을 설치하고, 감사패 수여와 추모행사를 확대합니다.
민간 중심의 장기 기증 희망자 등록을 건강보험공단, 주민센터 등 공공 영역으로 넓혀, 기증 희망 등록 기관을 460여 곳에서 2030년 9백여 곳으로 늘립니다.
(영상취재: 한기원 임주완 / 영상편집: 최은석)
이와 함께 신장과 간, 심장 등 16종의 장기 외에 이식 가능한 새 장기 지정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812회) 클립영상
- "기업활동 활성화로 경제회복···'규제 합리화'가 핵심" 02:18
- '지원·육성'으로 전환···바이오 심사 획기적 단축 02:21
- 정부 합동대응팀, 캄보디아 도착···'한국인 송환' 본격 협의 02:20
- 한미 관세협상 총력전···"협상 긍정적·외환시장 간극 좁혀" 02:08
- 한미 통화스와프·투자 관여권 보장 '쟁점' 02:59
- 시스템 복구율 46.8%···"1·2등급 시스템 이달 말 재개" 02:06
- KDI "건설업 위축 지속···소비 부진은 완화" 01:55
- 상생페이백 신청자 한 달 만에 천만 명 돌파 01:54
- "연내 입법 완료·신축 매입임대에 속도 낼 것" 02:22
- "심정지 후 장기 기증 추진"···첫 종합계획 발표 01:53
- 온열질환자 4천460명···2018년 이후 역대 2위 02:03
- '교대근무·상습 연장근로' 사업장 근로감독 02:04
- '2025 한복문화주간'···전통미와 현대적 감각의 만남 02:24
- "부여밤 라테 마셔볼까?"···기업·농가 상생 02:24
- 수험생 노린 '집중력 영양제' 허위 광고 점검 01:52
- 국립중앙과학관 80주년···19일까지 유료전시관 무료 0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