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유행주의보' 발령···"고위험군 예방 접종 중요"
등록일 : 2025.10.17 20:06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올해 독감 유행주의보가 지난해보다 두 달 빨리 발령됐습니다.
보건당국은 접종 대상자의 경우 가까운 보건소 등에서 국가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했습니다.
김유리 기자입니다.
김유리 기자>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40주 차인 지난 9월 28일부터 10월 4일까지 독감 의사환자는 1천 명당 12.1명.
이번 절기 유행 기준인 1천명 당 9.1명을 초과했습니다.
독감 의사환자란 38도 이상의 발열과 함께 기침, 인후통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로, 최근 4주간 계속해서 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질병청은 17일 0시부로 유행주의보를 발령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보다 두 달 빨리 주의보가 내려진 겁니다.
독감 유행주의보가 발령되면, 소아와 임산부, 65세 이상, 만성질환자 등 고위험군은 독감 의심증상으로 항바이러스제를 처방받는 경우 보험급여가 인정됩니다.
정부는 지난달 22일부터 국가예방접종을 시행 중입니다.
65세 이상 고령층 접종은 지난 15일 75세 이상부터 시작됐습니다.
이어 70~74세는 20일부터, 65~69세는 22일부터 무료 독감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접종 대상자는 적기에 맞춰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가예방접종은 주소지와 관계없이 가까운 위탁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서 할 수 있습니다.
독감 예방을 위해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을 알아두는 것도 도움 됩니다.
전화인터뷰> 이형민 / 질병관리청 감염병관리과장
"손 씻기와 기침 예절과 같은 개인 위생수칙 준수가 중요합니다. 실내의 경우는 자주 환기하여 주시고 혹시라도 발열이나 기침과 같은 호흡기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꼭 진료 받으시기를 권고드립니다."
정부는 독감 고위험군의 경우 본격적인 유행에 앞서 예방 접종을 받을 것을 강조했습니다.
(영상편집: 정성헌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김유리입니다.
올해 독감 유행주의보가 지난해보다 두 달 빨리 발령됐습니다.
보건당국은 접종 대상자의 경우 가까운 보건소 등에서 국가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했습니다.
김유리 기자입니다.
김유리 기자>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40주 차인 지난 9월 28일부터 10월 4일까지 독감 의사환자는 1천 명당 12.1명.
이번 절기 유행 기준인 1천명 당 9.1명을 초과했습니다.
독감 의사환자란 38도 이상의 발열과 함께 기침, 인후통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로, 최근 4주간 계속해서 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질병청은 17일 0시부로 유행주의보를 발령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보다 두 달 빨리 주의보가 내려진 겁니다.
독감 유행주의보가 발령되면, 소아와 임산부, 65세 이상, 만성질환자 등 고위험군은 독감 의심증상으로 항바이러스제를 처방받는 경우 보험급여가 인정됩니다.
정부는 지난달 22일부터 국가예방접종을 시행 중입니다.
65세 이상 고령층 접종은 지난 15일 75세 이상부터 시작됐습니다.
이어 70~74세는 20일부터, 65~69세는 22일부터 무료 독감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접종 대상자는 적기에 맞춰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가예방접종은 주소지와 관계없이 가까운 위탁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서 할 수 있습니다.
독감 예방을 위해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을 알아두는 것도 도움 됩니다.
전화인터뷰> 이형민 / 질병관리청 감염병관리과장
"손 씻기와 기침 예절과 같은 개인 위생수칙 준수가 중요합니다. 실내의 경우는 자주 환기하여 주시고 혹시라도 발열이나 기침과 같은 호흡기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꼭 진료 받으시기를 권고드립니다."
정부는 독감 고위험군의 경우 본격적인 유행에 앞서 예방 접종을 받을 것을 강조했습니다.
(영상편집: 정성헌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김유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813회) 클립영상
- 대통령실 "캄보디아 범죄연루 한국인, 전세기로 송환 임박" 02:05
- 교육부, 전국 대학과 '캄보디아 사태' 대응 방안 논의 01:46
- 한미, 통상협의···'3천500억 달러' 막바지 협상 02:01
- "공무원 업무 시스템 '온나라' 해킹 정황···보안 강화" 02:39
- "생산·소비 개선 흐름···상반기 부진 벗어나" 02:33
- 취업자 증가 폭 30만 명대···"소비쿠폰 영향" 02:06
- 국립중앙박물관 관람객 500만 돌파···역대 최다 [뉴스의 맥] 03:24
- 의료대란 20개월 마침표···"위기경보 '심각' 해제" 02:12
-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고위험군 예방 접종 중요" 02:09
- 전국우수시장박람회 개막···지역 특산물 한자리에 02:09
- 고가주택 수요 억제···대출한도 최대 15%↓ 02:38
- 정부 "야스쿠니 공물 봉납, 깊은 실망과 유감" 00:33
- 한미 합참의장 통화···"연합방위태세로 북 위협 억제" 00:37
- 노동부·해경, '잠수부 사망' HMM·KCC 압수수색 00:32
- 수확의 계절,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01:04
- 추석 명절 농식품 원산지 표시 위반 373개소 적발 00:48
- "책 속에서 '청렴'을 읽는다", 청렴 추천 도서 40권 선정 0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