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토허구역' 효력···갭투자 차단
등록일 : 2025.10.20 17:39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오늘부터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이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묶입니다.
토허구역에서 집을 살 때 2년 실거주 의무가 생겨 이른바 '갭투자'가 차단되는데요.
지난 주말까지 해당 지역에서는 '막차' 거래가 이어졌습니다.
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
김찬규 기자>
10·15 부동산 대책에 따라 20일부터 내년 12월 31일까지 서울 전역, 경기 과천과 광명 등 경기도 12곳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입니다.
기존 토허구역은 아파트만을 대상으로 했지만, 이번에는 동일 단지 내 아파트가 1개 동 이상 포함된 연립·다세대주택도 포함됐습니다.
토허구역 효력이 발생하기 전 주말까지 해당 지역에서는 막판 신고가 계약이 이어졌습니다.
인터뷰> 성동구 A 부동산 공인중개사
"19억 5천만 원에 계약이 됐어요. 최고가죠. 그분들은 (규제 전에) 빨리 사야 한다는 목적 때문에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저희도 놀랄 정도로 금액이 지금 올라가 있는 상태고."
마포·성동구 등 '한강 벨트'를 벗어난 지역에서도 매수 문의가 이어졌습니다.
전화인터뷰> 관악구 B 부동산 공인중개사
"어제(19일)까지 매수 의사도 있고 그랬죠. 근데 어차피 오늘(20일)부터는 안되니까 어제까지 (문의)하시는데, 좀 위험하신 분들(갭투자)도 계시고. 계속 문의는 하세요. 어제(19일) 저한테 전화 문의 두 팀이 들어왔거든요. 가계약금 바로 쏘겠다. 내가 계약금 10% 보내겠다."
토허구역에서 아파트 등 주택을 사고팔 때, 계약 전 관할 지자체 허가를 얻어야 합니다.
2년의 실거주 의무도 생깁니다.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이른바 '갭투자'가 사실상 금지되는 겁니다.
녹취> 김규철 / 국토교통부 주택토지실장(지난 15일)
"토지거래허가구역을 같이 지정하게 되었기 때문에 갭투자를 통해서 별도로 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 수단을 근본적으로 막았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효과 자체가 굉장히 클 것이라고 생각되고."
허가 없이 계약을 체결하면 효력을 잃고, 실거주 의무 등을 위반하면 이행 강제금이 부과되거나 허가 취소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청약이나 재개발·재건축 조합원 자격으로 얻은 분양권이나 입주권을 전매할 때도 허가받아야 합니다.
다만 분양권과 입주권 취득 자체는 규제 대상이 아닙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민혜정)
오피스텔과 상가, 빌라 등 비주택 담보대출의 담보 인정 비율은 기존 70%로 유지됩니다.
KTV 김찬규입니다.
오늘부터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이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묶입니다.
토허구역에서 집을 살 때 2년 실거주 의무가 생겨 이른바 '갭투자'가 차단되는데요.
지난 주말까지 해당 지역에서는 '막차' 거래가 이어졌습니다.
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
김찬규 기자>
10·15 부동산 대책에 따라 20일부터 내년 12월 31일까지 서울 전역, 경기 과천과 광명 등 경기도 12곳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입니다.
기존 토허구역은 아파트만을 대상으로 했지만, 이번에는 동일 단지 내 아파트가 1개 동 이상 포함된 연립·다세대주택도 포함됐습니다.
토허구역 효력이 발생하기 전 주말까지 해당 지역에서는 막판 신고가 계약이 이어졌습니다.
인터뷰> 성동구 A 부동산 공인중개사
"19억 5천만 원에 계약이 됐어요. 최고가죠. 그분들은 (규제 전에) 빨리 사야 한다는 목적 때문에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저희도 놀랄 정도로 금액이 지금 올라가 있는 상태고."
마포·성동구 등 '한강 벨트'를 벗어난 지역에서도 매수 문의가 이어졌습니다.
전화인터뷰> 관악구 B 부동산 공인중개사
"어제(19일)까지 매수 의사도 있고 그랬죠. 근데 어차피 오늘(20일)부터는 안되니까 어제까지 (문의)하시는데, 좀 위험하신 분들(갭투자)도 계시고. 계속 문의는 하세요. 어제(19일) 저한테 전화 문의 두 팀이 들어왔거든요. 가계약금 바로 쏘겠다. 내가 계약금 10% 보내겠다."
토허구역에서 아파트 등 주택을 사고팔 때, 계약 전 관할 지자체 허가를 얻어야 합니다.
2년의 실거주 의무도 생깁니다.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이른바 '갭투자'가 사실상 금지되는 겁니다.
녹취> 김규철 / 국토교통부 주택토지실장(지난 15일)
"토지거래허가구역을 같이 지정하게 되었기 때문에 갭투자를 통해서 별도로 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 수단을 근본적으로 막았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효과 자체가 굉장히 클 것이라고 생각되고."
허가 없이 계약을 체결하면 효력을 잃고, 실거주 의무 등을 위반하면 이행 강제금이 부과되거나 허가 취소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청약이나 재개발·재건축 조합원 자격으로 얻은 분양권이나 입주권을 전매할 때도 허가받아야 합니다.
다만 분양권과 입주권 취득 자체는 규제 대상이 아닙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민혜정)
오피스텔과 상가, 빌라 등 비주택 담보대출의 담보 인정 비율은 기존 70%로 유지됩니다.
KTV 김찬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1920회) 클립영상
- 대통령실 브리핑 - ADEX·방산 토론회 관련 05:46
- "방산 4대 강국 도약···'안보협력 파트너'로" 02:54
- 이 대통령 "자주국방 핵심은 방산···국방비 대폭 확대" 01:49
- 외교장관 "캄보디아 감금 한국인 2명 구출" 00:23
- 김용범 "관세협상, 대부분 쟁점에서 실질적 진전 있어" 01:52
- 시스템 복구율 52.9%···86개 시스템 이번 주 재가동 01:56
- '초혁신 경제' 시동···스마트농업·AI 바이오 육성 계획 02:56
- 오늘부터 '토허구역' 효력···갭투자 차단 02:34
- 우크라이나 "러시아 정유시설 매일 타격 중" [글로벌 핫이슈] 05:59
- 오늘의 증시 (25. 10. 20. 16시) 00:38
- 자동차 수출 호조···대미 수출은 '뚝' [오늘의 이슈] 05:34
- 서울 전역·경기 12곳···초강력 '3중 규제' [경제&이슈] 19:17
- 목포 시화골목길 [함께힐링] 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