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혁신 경제' 시동···스마트농업·AI 바이오 육성 계획
등록일 : 2025.10.20 17:39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정부는 지난 8월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을 통해 AI 대전환과 초혁신경제 30대 선도프로젝트 추진이라는 목표를 제시했는데요.
스마트 농업과 수산업 등 초혁신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의 두 번째 추진계획을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성장전략 TF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장소: 2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성장전략 TF 겸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초혁신 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의 두 번째 추진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구 부총리는 "초혁신 경제와 AI 전환을 통해 성장 기반을 새로 세우겠다"며 "민관이 함께 국가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구윤철 경제부총리
"정부가 기업 성장을 위한 든든한 도약대가 되겠습니다. 초혁신 경제와 AI 대전환을 조속히 달성하기 위해 기업을 중심으로 민관이 함께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겠습니다."
두 번째 초혁신경제 15대 선도프로젝트 추진 계획에는 기후·에너지·미래대응 분야의 스마트농업과 스마트 수산업 초고해상도 위성·활용, K-붐 업 분야 등이 담겼습니다.
스마트농업은 AI 기반 스마트농업 체제로 전환을 위해 민간투자를 유치하고, 스마트농업 육성지구 중 1곳을 '혁신 선도지구'로 지정하기로 했습니다.
혁신 선도지구 중심으로 스마트농업 선도모델을 확산시켜 지난해 16% 수준인 스마트농업 도입률을 2030년까지 35%로 확대합니다.
스마트 수산업은 세계 최고 수준인 한국의 수산 종자 생산기술과 ICT 기술을 접목해 올해 2.7%에 불과한 스마트수산업 보급률을 2030년까지 10%로 늘릴 계획입니다.
또한, 스마트수산업 혁신 선도지구 1개를 지정하고, 테스트 베드를 구축해 기업육성과 인력 양성 등 전주기 혁신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초고해상도 위성 프로젝트에서는 국가 안보와 경제 핵심으로 국가 간 이전·협력이 어려운 초고해상도 광학위성의 핵심기술 개발에 나설 계획입니다.
AI 바이오의 경우 기술축적부터 인재양성, 산업확산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생태계를 조성하고, 2030년까지 신약 후보 물질 4건 이상 발굴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K-뷰티 통합 클러스터는 외국인 관광객 대상 체험·홍보가 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수출전략 다각화에 초점을 두기로 했습니다.
체험·문화·관광·산업이 융합된 K-뷰티 통합 클러스터를 조성해 글로벌 뷰티 허브로 도약하도록 세부추진계획을 마련해 내년 초 1개 거점을 선정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구윤철 경제부총리
"글로벌 화장품 수출 2강으로 도약하기 위해 체험·문화·관광·산업이 집적된 K-뷰티 클러스터를 조성합니다."
한편 정부는 지난달 릴레이 현장간담회에서 건의받은 애로사항에 대해 로봇, 자동차, 팩토리, 선박, 드론 등 분야별로 조치계획을 마련했습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김세원)
KTV 신국진입니다.
정부는 지난 8월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을 통해 AI 대전환과 초혁신경제 30대 선도프로젝트 추진이라는 목표를 제시했는데요.
스마트 농업과 수산업 등 초혁신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의 두 번째 추진계획을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성장전략 TF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장소: 2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성장전략 TF 겸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초혁신 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의 두 번째 추진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구 부총리는 "초혁신 경제와 AI 전환을 통해 성장 기반을 새로 세우겠다"며 "민관이 함께 국가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구윤철 경제부총리
"정부가 기업 성장을 위한 든든한 도약대가 되겠습니다. 초혁신 경제와 AI 대전환을 조속히 달성하기 위해 기업을 중심으로 민관이 함께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겠습니다."
두 번째 초혁신경제 15대 선도프로젝트 추진 계획에는 기후·에너지·미래대응 분야의 스마트농업과 스마트 수산업 초고해상도 위성·활용, K-붐 업 분야 등이 담겼습니다.
스마트농업은 AI 기반 스마트농업 체제로 전환을 위해 민간투자를 유치하고, 스마트농업 육성지구 중 1곳을 '혁신 선도지구'로 지정하기로 했습니다.
혁신 선도지구 중심으로 스마트농업 선도모델을 확산시켜 지난해 16% 수준인 스마트농업 도입률을 2030년까지 35%로 확대합니다.
스마트 수산업은 세계 최고 수준인 한국의 수산 종자 생산기술과 ICT 기술을 접목해 올해 2.7%에 불과한 스마트수산업 보급률을 2030년까지 10%로 늘릴 계획입니다.
또한, 스마트수산업 혁신 선도지구 1개를 지정하고, 테스트 베드를 구축해 기업육성과 인력 양성 등 전주기 혁신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초고해상도 위성 프로젝트에서는 국가 안보와 경제 핵심으로 국가 간 이전·협력이 어려운 초고해상도 광학위성의 핵심기술 개발에 나설 계획입니다.
AI 바이오의 경우 기술축적부터 인재양성, 산업확산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생태계를 조성하고, 2030년까지 신약 후보 물질 4건 이상 발굴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K-뷰티 통합 클러스터는 외국인 관광객 대상 체험·홍보가 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수출전략 다각화에 초점을 두기로 했습니다.
체험·문화·관광·산업이 융합된 K-뷰티 통합 클러스터를 조성해 글로벌 뷰티 허브로 도약하도록 세부추진계획을 마련해 내년 초 1개 거점을 선정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구윤철 경제부총리
"글로벌 화장품 수출 2강으로 도약하기 위해 체험·문화·관광·산업이 집적된 K-뷰티 클러스터를 조성합니다."
한편 정부는 지난달 릴레이 현장간담회에서 건의받은 애로사항에 대해 로봇, 자동차, 팩토리, 선박, 드론 등 분야별로 조치계획을 마련했습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김세원)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1920회) 클립영상
- 대통령실 브리핑 - ADEX·방산 토론회 관련 05:46
- "방산 4대 강국 도약···'안보협력 파트너'로" 02:54
- 이 대통령 "자주국방 핵심은 방산···국방비 대폭 확대" 01:49
- 외교장관 "캄보디아 감금 한국인 2명 구출" 00:23
- 김용범 "관세협상, 대부분 쟁점에서 실질적 진전 있어" 01:52
- 시스템 복구율 52.9%···86개 시스템 이번 주 재가동 01:56
- '초혁신 경제' 시동···스마트농업·AI 바이오 육성 계획 02:56
- 오늘부터 '토허구역' 효력···갭투자 차단 02:34
- 우크라이나 "러시아 정유시설 매일 타격 중" [글로벌 핫이슈] 05:59
- 오늘의 증시 (25. 10. 20. 16시) 00:38
- 자동차 수출 호조···대미 수출은 '뚝' [오늘의 이슈] 05:34
- 서울 전역·경기 12곳···초강력 '3중 규제' [경제&이슈] 19:17
- 목포 시화골목길 [함께힐링] 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