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기업 4년째 감소···1년 생존율도 하락
등록일 : 2025.10.23 19:56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지난해 새로 생긴 기업은 줄고, 문을 닫은 기업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반적인 기업 활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최다희 기자입니다.
최다희 기자>
지난해 국내 활동기업 수는 764만2천 개로 전년보다 1.4% 늘었습니다.
하지만 새로 생긴 신생기업은 92만2천 개로 1년 전보다 3만3천 개 줄고, 소멸기업은 79만1천 개로 오히려 4만 개 늘었습니다.
신생기업 수는 코로나19 이후 2021년부터 4년 연속 감소세로, 지난해 7년 만에 최소를 기록했습니다.
활동기업 중 신생기업이 차지하는 비율도 12.1%로 떨어졌습니다.
전화인터뷰> 정규승 / 국가데이터처 경제통계국 팀장
"경기가 좀 둔화되고, 창업 환경 같은 게 악화됐기 때문에 기업을 유지하기가 힘들고, 신생기업을 만들기에는 이익 같은 게 보장되지 않는다고 생각해서 신생률이 좀 줄어든 거 같고요."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업과 부동산업, 숙박·음식점업 순으로 신생 기업이 많았습니다.
다만 부동산업과 숙박·음식점업 등은 감소폭이 컸습니다.
새로 창업한 기업의 1년 생존율도 하락했습니다.
2022년에 생긴 기업 중 다음 해까지 살아남은 비율은 64.4%로, 신생기업 중 35.6%는 1년을 버티지 못했다는 의미입니다.
5년 생존 기업 또한 전체의 36.4%에 그쳤습니다.
전년보다 1.6%p 개선됐지만, 여전히 10곳 중 6곳 이상은 5년 내 폐업하는 셈입니다.
지난해 20% 이상 고성장한 기업은 5천403개로 전년보다 298개 줄었습니다.
특히 정보통신업, 건설업에서 감소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손윤지)
고성장 기업 중 사업자 등록 후 5년 이하인 '가젤기업'은 1천356개로 전년 대비 44개 감소했습니다.
KTV 최다희입니다.
지난해 새로 생긴 기업은 줄고, 문을 닫은 기업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반적인 기업 활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최다희 기자입니다.
최다희 기자>
지난해 국내 활동기업 수는 764만2천 개로 전년보다 1.4% 늘었습니다.
하지만 새로 생긴 신생기업은 92만2천 개로 1년 전보다 3만3천 개 줄고, 소멸기업은 79만1천 개로 오히려 4만 개 늘었습니다.
신생기업 수는 코로나19 이후 2021년부터 4년 연속 감소세로, 지난해 7년 만에 최소를 기록했습니다.
활동기업 중 신생기업이 차지하는 비율도 12.1%로 떨어졌습니다.
전화인터뷰> 정규승 / 국가데이터처 경제통계국 팀장
"경기가 좀 둔화되고, 창업 환경 같은 게 악화됐기 때문에 기업을 유지하기가 힘들고, 신생기업을 만들기에는 이익 같은 게 보장되지 않는다고 생각해서 신생률이 좀 줄어든 거 같고요."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업과 부동산업, 숙박·음식점업 순으로 신생 기업이 많았습니다.
다만 부동산업과 숙박·음식점업 등은 감소폭이 컸습니다.
새로 창업한 기업의 1년 생존율도 하락했습니다.
2022년에 생긴 기업 중 다음 해까지 살아남은 비율은 64.4%로, 신생기업 중 35.6%는 1년을 버티지 못했다는 의미입니다.
5년 생존 기업 또한 전체의 36.4%에 그쳤습니다.
전년보다 1.6%p 개선됐지만, 여전히 10곳 중 6곳 이상은 5년 내 폐업하는 셈입니다.
지난해 20% 이상 고성장한 기업은 5천403개로 전년보다 298개 줄었습니다.
특히 정보통신업, 건설업에서 감소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손윤지)
고성장 기업 중 사업자 등록 후 5년 이하인 '가젤기업'은 1천356개로 전년 대비 44개 감소했습니다.
KTV 최다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817회) 클립영상
- 미 CNN 인터뷰···"관세협상, 합리적 결과 도달할 것" 01:37
- 이 대통령 "자주적 방산 역량, 경제 성장 견인할 것" 01:56
- 김용범 정책실장, 내일 새벽 귀국···"협의 일부 진전" 02:21
- 한은, 기준금리 연 2.5% 동결···"집값·환율 불안 고려" 01:55
- '이태원 참사' 경찰 대비 부족···관련자 62명 징계 요구 02:24
- 감사원 "재난 안전관리체계, 인력·매뉴얼 실효성 높여야" [뉴스의 맥] 03:38
- '인천플랜' 채택···글로벌 질서 변화 속 역내 공조 재확인 02:42
- 소부장 핵심전략지도 마련···특화단지 10곳 추가 지정 02:17
- 하반기 '환영 주간' 개막···"APEC, 한국 매력 알릴 기회" 02:28
- '다크패턴' 해석 기준 구체화···소비자보호 지침 개정 02:18
- 태안화력 산안법 1천84건 위반···6년 전보다 증가 02:06
- 신생기업 4년째 감소···1년 생존율도 하락 01:55
- 무형유산 전승자, 수장고 속 왕실유물 27점 조사 03:12
- 이 대통령, 초국가범죄 대응 관계장관회의 주재 00:34
- '730만 취준생' 개인정보 유출 인크루트, 과징금 처분 00:45
- 성평등부 장관 "성평등 정책 복원···신뢰 되살릴 것" 00:34
- 자동차 페달오조작 방지장치 장착 의무화한다 01:06
- 중학교 씨름부 폭행 지도자 자격 즉시 취소 00:51
- [소비자안전주의보] 실내 인공 암벽 등반 추락 사고 다발···안전 수칙 준수해야 00:49
-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5', 내일을 위한 공공디자인 조명 0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