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소득이동성 34.1%···3년 연속 감소
등록일 : 2025.10.27 17:33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2023년 소득이동성이 34.1% 기록하며,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소득계층 이동이 점점 어려워지면서 상위 20%인 5분위에 진입한 사람은 여전히 3.5%에 불과했는데요.
조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조태영 기자>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2023년 소득이동성은 34.1%입니다.
전년보다 0.8%p 줄어드는 등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소득 고착화가 심해졌습니다.
소득분위 간 상향 이동자는 17.3%, 하향 이동자는 16.8%로 나타났습니다.
1분위(29.9%), 2분위(28.1%), 3분위(18.1%) 순으로 상향 이동비율이 높았고, 하향 이동비율은 3분위(26%), 4분위(23.5%), 2분위(20.5%) 순이었습니다.
녹취> 최바울 / 국가데이터처 경제사회통계실장
"(2022년) 소득 1분위에(하위 20%) 속한 사람 중에서 29.9%는 2023년도에 상향 이동했고, 5분위로(상위 20%) 진입한 사람은 3.5%로 전년과 동일합니다. 1분위 유지율은 70.1%, 5분위 유지율은 85.9%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성별 소득이동성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습니다.
여자의 경우 전년 대비 상향이동이 소폭 증가했고, 남자는 상·하향 이동 모두 감소했습니다.
다만 1분위 탈출률과 5분위 진입률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습니다.
연령대별 소득이동성을 보면, 15~39세 청년층이 40.4%로 가장 높았고, 65세 이상 노년층은 25%로 가장 낮았습니다.
2017년 1분위의 약 28%는 2023년까지도 여전히 1분위에 머물렀습니다.
5분위 59% 역시 7년 동안 같은 위치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상취재: 고광현 / 영상편집:정성헌 / 영상그래픽: 손윤지)
한편 2023년에 소득 상승한 사람은 64%, 하락한 사람은 33.9%, 동일한 사람은 2.1%였습니다.
KTV 조태영입니다.
2023년 소득이동성이 34.1% 기록하며,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소득계층 이동이 점점 어려워지면서 상위 20%인 5분위에 진입한 사람은 여전히 3.5%에 불과했는데요.
조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조태영 기자>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2023년 소득이동성은 34.1%입니다.
전년보다 0.8%p 줄어드는 등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소득 고착화가 심해졌습니다.
소득분위 간 상향 이동자는 17.3%, 하향 이동자는 16.8%로 나타났습니다.
1분위(29.9%), 2분위(28.1%), 3분위(18.1%) 순으로 상향 이동비율이 높았고, 하향 이동비율은 3분위(26%), 4분위(23.5%), 2분위(20.5%) 순이었습니다.
녹취> 최바울 / 국가데이터처 경제사회통계실장
"(2022년) 소득 1분위에(하위 20%) 속한 사람 중에서 29.9%는 2023년도에 상향 이동했고, 5분위로(상위 20%) 진입한 사람은 3.5%로 전년과 동일합니다. 1분위 유지율은 70.1%, 5분위 유지율은 85.9%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성별 소득이동성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습니다.
여자의 경우 전년 대비 상향이동이 소폭 증가했고, 남자는 상·하향 이동 모두 감소했습니다.
다만 1분위 탈출률과 5분위 진입률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습니다.
연령대별 소득이동성을 보면, 15~39세 청년층이 40.4%로 가장 높았고, 65세 이상 노년층은 25%로 가장 낮았습니다.
2017년 1분위의 약 28%는 2023년까지도 여전히 1분위에 머물렀습니다.
5분위 59% 역시 7년 동안 같은 위치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상취재: 고광현 / 영상편집:정성헌 / 영상그래픽: 손윤지)
한편 2023년에 소득 상승한 사람은 64%, 하락한 사람은 33.9%, 동일한 사람은 2.1%였습니다.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대한민국 2부 (1925회) 클립영상
- 한-캄보디아, 스캠 범죄 대응 '코리아전담반' 다음달 가동 02:37
- "한-아세안 '이웃사촌'···3천억 달러 교역 목표" 02:33
- 이 대통령 "3천500억 달러 대미투자 주요쟁점 여전" 01:30
- 경주 APEC 주간 시작···31일부터 정상회의 01:43
- 한미 SCM 다음 달 4일 개최···대북정책 등 논의 01:43
- 2023년 소득이동성 34.1%···3년 연속 감소 01:57
- 중부·경북 첫 한파주의보···내일 더 추워 01:59
- 국정자원 화재 복구율 75.3%···534개 시스템 정상화 00:31
- 미·중, 정상회담 앞두고 말레이시아에서 무역협상 [글로벌 핫이슈] 06:19
- 오늘의 증시 (25. 10. 27. 16시) 00:39
- 소비와 함께 성장하는 경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오늘의 이슈] 09:51
- AI 신약부터 스마트팜까지···초혁신경제 본격화 [경제&이슈] 13:58
- 월 최대 200만 원, ‘아빠보너스제’ 육아휴직 급여 인상 [클릭K+] 03:48
- 전북 순창군 채계산 [함께힐링] 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