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지원 종료···응급 전문의 진찰료 가산 상시화
등록일 : 2025.10.31 20:20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그동안 비상진료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투입해오던 건강보험 지원이 단계적으로 종료됩니다.
한시적으로 시행해온 응급진료 전문의 진찰료 수가는 상시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녹취> 정은경 / 보건복지부 장관 (지난 17일, 중대본회의)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 단계를 10월 20일 0시부로 해제하고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을 종료하고자 합니다."
정유림 기자>
정부의 위기경보 해제에 따라 비상진료 명목으로 그동안 시행됐던 조치들이 1년 8개월 만에 종료됩니다.
복지부는 건정심을 열고, 최근 의료현장 혼란이 수습돼감에 따라 건강보험 한시 지원을 종료한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건보 지원이 종료되는 항목은 크게 4가지입니다.
지역 응급실 진찰료와 중증환자 배정 보상, 회송료와 신속대응팀 한시 가산 조치가 10월부로 종료됩니다.
응급의료 유지에 효과가 있던 일부 항목은 살려 정규 수가로 전환합니다.
정부는 의료 공백 대응을 위해 응급실 진료에 150~250% 가산 수가를 지급해왔는데, 권역·전문응급·권역외상센터에는 100%, 지역응급실에는 수가를 50%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응급·중증수술과 관련해서는 권역·전문응급·권역외상센터의 경우 150% 가산하고, 지역의 경우 200% 가산됐던 수가를 종료하기로 했습니다.
간호사 진료지원과 비대면 진료, 입원전담 전문의 등의 조치들은 제도화가 추진됩니다.
정부는 일상 체계로 전환한 이후에도 장시간 누적된 취약점을 보완하고 구조 개혁 과제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간단 계획입니다.
국민, 의료계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지역필수 공공의료 강화 방안 등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이밖에 건정심에서는 모든 의원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초진 진찰료를 0.76% 인상하고, 병원급의 경우 투약과 조제료 4개 항목을 30~50% 인상하는 방안이 함께 의결됐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손윤지)
KTV 정유림입니다.
그동안 비상진료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투입해오던 건강보험 지원이 단계적으로 종료됩니다.
한시적으로 시행해온 응급진료 전문의 진찰료 수가는 상시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녹취> 정은경 / 보건복지부 장관 (지난 17일, 중대본회의)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 단계를 10월 20일 0시부로 해제하고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을 종료하고자 합니다."
정유림 기자>
정부의 위기경보 해제에 따라 비상진료 명목으로 그동안 시행됐던 조치들이 1년 8개월 만에 종료됩니다.
복지부는 건정심을 열고, 최근 의료현장 혼란이 수습돼감에 따라 건강보험 한시 지원을 종료한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건보 지원이 종료되는 항목은 크게 4가지입니다.
지역 응급실 진찰료와 중증환자 배정 보상, 회송료와 신속대응팀 한시 가산 조치가 10월부로 종료됩니다.
응급의료 유지에 효과가 있던 일부 항목은 살려 정규 수가로 전환합니다.
정부는 의료 공백 대응을 위해 응급실 진료에 150~250% 가산 수가를 지급해왔는데, 권역·전문응급·권역외상센터에는 100%, 지역응급실에는 수가를 50%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응급·중증수술과 관련해서는 권역·전문응급·권역외상센터의 경우 150% 가산하고, 지역의 경우 200% 가산됐던 수가를 종료하기로 했습니다.
간호사 진료지원과 비대면 진료, 입원전담 전문의 등의 조치들은 제도화가 추진됩니다.
정부는 일상 체계로 전환한 이후에도 장시간 누적된 취약점을 보완하고 구조 개혁 과제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간단 계획입니다.
국민, 의료계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지역필수 공공의료 강화 방안 등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이밖에 건정심에서는 모든 의원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초진 진찰료를 0.76% 인상하고, 병원급의 경우 투약과 조제료 4개 항목을 30~50% 인상하는 방안이 함께 의결됐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손윤지)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823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국제질서 변곡점···'화백정신'으로 APEC 도약" 02:07
- 이 대통령, 젠슨황 만나···"아태 지역 'AI 수도'가 목표" 01:58
- "APEC 열기 후끈"···경주, 국제 관광도시 도약 02:17
- 핵심 광물 비축 확대 등 대응 강화···재자원화 추진 02:35
- APEC 정상회의 공식 환영 만찬 이재명 대통령 환영사 및 건배사 06:00
- 9월 산업생산 1% 증가···소비 두 달 연속 감소 01:30
- 군 정찰위성 5호기 다음 달 2일 미국서 발사 01:56
- 9월 서울 주택 거래 전달보다 1.5배 증가 02:17
- 대한민국 소상공인대회···AI로 미래를 잇다 02:11
- 건설 불법하도급 262건 적발···체불임금 포착 01:57
- 비상지원 종료···응급 전문의 진찰료 가산 상시화 02:04
- 부산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20년 기다림 결실 02:32
- 식약처장, APEC 크루즈선 찾아 식품안전 점검 00:34
- 노동부·경찰, '3명 질식사' 경주 아연공장 압수수색 00:32
- '폐교 활용' 활성화···지원 늘리고 규제 없앤다 0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