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5년 APEC 정상회의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내일 연결, 혁신, 번영

공통뷰

비경제활동인구 1천622만 명···60대 이상 46.8%
등록일 : 2025.11.05 17:28
미니플레이
임보라 앵커>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고 '쉬었다'고 답한 비경제 활동인구가 1년 새 9천 명 증가했습니다.
60대와 70대 이상 어르신 비중이 46.8%를 차지했고 비임금근로자는 655만 4천 명으로 조사됐습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국가데이터처가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비임금근로 겸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22만 명으로 조사됐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 이상 생산 가능 연령 인구 가운데 취업자가 아니면서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사람을 말합니다.
지난해보다 9천 명 증가했지만 1년 전 24만 명 늘어난 것에 비하면 증가 폭은 크게 줄어든 겁니다.
활동 상태별로는 가사가 36.9%로 가장 많았고, 재학·수강 등이 20.2%, 쉬었음 16.3%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는 70세 이상과 60대가 전체 46.8%를 차지했고, 15세에서 19세가 12.9%로 조사됐습니다.
쉬었음의 주된 이유로는 몸이 좋지 않거나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라고 답한 사람이 절반을 넘었습니다.
특히, 앞으로 1년 이내 취업이나 창업 의사가 있는 비경제활동인구는 330만1천 명으로 전체 비경제활동인구의 20.4%를 차지했습니다.
취업희망자의 월평균 임금 구간은 200만 원에서 300만 원 미만을 가장 많이 선호했고, 주된 고려사항은 31%가 근무여건이라고 답했습니다.
한편, 같은 기간 비임금근로자는 655만4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만3천 명 감소했습니다.
전체 취업자 2천896만7천 명 가운데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0.5%p 감소한 22.6%로 2007년 통계를 작성한 이래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43만5천 명으로 나타났고,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30만 명으로 1년 전보다 6만5천 명 감소했습니다.
동일 가구 내 가족 경영 사업체나 농장에서 무보수로 일하는 무급가족종사자는 87만9천 명으로 3만3천 명 줄었습니다.
비임금근로자의 평소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44.2시간이었으며 평균 소속 기간은 15년 5개월로 조사됐습니다.
사회보험 가입률은 국민연금이 81.9% 산재보험 65.1%로 나타났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