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경상수지 134억 달러···29개월 연속 흑자
등록일 : 2025.11.06 20:07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해외에서 벌어들인 돈이 나간 돈보다 많아, 경상수지가 29개월째 흑자를 이어갔습니다.
9월 흑자 규모는 역대 두 번째로 컸습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경상수지는 134억7천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습니다.
전월보다 43억 달러 늘었는데 역대 두 번째 규모입니다.
이로써 경상수지는 29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주요 요인은 상품수지 개선입니다.
상품수지 흑자는 142억4천만 달러로 2017년 이후 두 번째 규모를 기록했고, 반도체와 자동차, 화학제품 수출 증가가 실적을 이끌었습니다.
9월 수출은 672억7천만 달러로 지난해보다 9.6% 늘었습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와 EU, 일본 등에서 호조를 보인 반면 미국은 -1.4%로 고전했습니다.
한편 서비스수지는 33억2천만 달러 적자로 전월보다 적자 폭이 커졌습니다.
운송 수지가 5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섰고, 지식재산권 사용료 수지도 악화됐습니다.
본원소득수지 흑자는 29억6천만 달러로 배당소득 증가에 힘입어 크게 늘었습니다.
녹취> 신승철 / 한국은행 경제통계 1국장
"1~9월 상품수지 수출이 늘어난 가운데 수입은 에너지를 중심으로 감소하면서 상품수지가 역대 3위, 본원소득수지 같은 경우 그간 누적된 대외순자산의 영향으로 사상 최대 흑자를 기록한 경우입니다."
한국은행은 대외 불확실성이 상존하지만 수출 경쟁력은 회복세라며 경상수지 흐름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정부는 수출기업 지원과 무역 금융 확대 등을 통해 흑자 기조 유지를 뒷받침할 계획입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해외에서 벌어들인 돈이 나간 돈보다 많아, 경상수지가 29개월째 흑자를 이어갔습니다.
9월 흑자 규모는 역대 두 번째로 컸습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경상수지는 134억7천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습니다.
전월보다 43억 달러 늘었는데 역대 두 번째 규모입니다.
이로써 경상수지는 29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주요 요인은 상품수지 개선입니다.
상품수지 흑자는 142억4천만 달러로 2017년 이후 두 번째 규모를 기록했고, 반도체와 자동차, 화학제품 수출 증가가 실적을 이끌었습니다.
9월 수출은 672억7천만 달러로 지난해보다 9.6% 늘었습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와 EU, 일본 등에서 호조를 보인 반면 미국은 -1.4%로 고전했습니다.
한편 서비스수지는 33억2천만 달러 적자로 전월보다 적자 폭이 커졌습니다.
운송 수지가 5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섰고, 지식재산권 사용료 수지도 악화됐습니다.
본원소득수지 흑자는 29억6천만 달러로 배당소득 증가에 힘입어 크게 늘었습니다.
녹취> 신승철 / 한국은행 경제통계 1국장
"1~9월 상품수지 수출이 늘어난 가운데 수입은 에너지를 중심으로 감소하면서 상품수지가 역대 3위, 본원소득수지 같은 경우 그간 누적된 대외순자산의 영향으로 사상 최대 흑자를 기록한 경우입니다."
한국은행은 대외 불확실성이 상존하지만 수출 경쟁력은 회복세라며 경상수지 흐름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정부는 수출기업 지원과 무역 금융 확대 등을 통해 흑자 기조 유지를 뒷받침할 계획입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827회) 클립영상
- "한미 팩트시트 발표, 이번 주 안 넘길 것" 02:30
- KT, '악성코드 감염 서버' 신고 누락···관리도 부실 02:12
- 펨토셀 핵심정보 외주업체에 보안 없이 제공 [뉴스의 맥] 04:35
- 노동장관,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에 "강제수사 추진" 00:26
- 9월 경상수지 134억 달러···29개월 연속 흑자 01:50
- '수십 배 웃돈' 17개 암표 업자 세무조사 실시 01:45
- 행정시스템 복구 마무리 단계···위기경보 '경계'로 하향 02:11
- 이 대통령, '산불위험지역' 방문···"과할 만큼 조기 대응" 02:18
- 잇따른 정보 유출 사고···'정보 보호 산업' 성장세 02:08
- 국제결혼 3년 연속↑···다문화 출생아 12년 만에 증가 02:14
- '캄보디아 불법 리딩방' 조직원 54명 검거 02:05
- 정신질환 치료자 63만 명 증가···우울장애 증가 영향 02:10
- '국산 밀 제빵대회' 첫 개최···우리 밀 소비 확산 02:21
- 국가유산청 "대법 판결 존중···세계유산 종묘 지위 지킬 것" 00:43
- 수능 앞두고 식의약품 불법유통 등 773건 적발 00:34
- 주요 분쟁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01:04
- "임금체불 피해 외국인, 더이상 강제퇴거 두려워하지 않아도 됩니다" 00:39
- 전국이 가장 예쁠 때 떠나는 올가을 숨은 관광지 00:51
- 해외 유력 언론사 활약 한인 언론인, 모국 찾는다 00: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