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주택 소유자 35만 명 증가···상·하위 집값 44배 격차
등록일 : 2025.11.14 19:58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개인의 수가 한 해 전보다 35만 명 가량 늘어났습니다.
집값의 상하위간 격차는 40배 넘게 차이 났습니다.
윤현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윤현석 기자>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개인의 수는 1천597만6천 명.
전년 대비 35만7천 명 늘었습니다.
주택을 1채만 소유한 1주택자는 1천359만9천 명으로 85.1%를 차지했습니다.
2채 이상 소유한 다주택자 비중은 14.9%로 전년 대비 0.1%p 감소했습니다.
주택 소유자의 절반 가량은 50대와 60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 살펴 보면 전체 주택 소유자의 25.3%는 50대였습니다.
그 뒤로 60대 23%, 40대 20.3%, 70대 12.6%, 30대 9.2% 순이었습니다.
주택 소유자에서 여성이 차지한 비중은 46.4%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보다 0.2%p 증가한 수치고, 해당 비중은 지속적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주택 자산가액 상위 10%와 하위 10%의 집값은 40배 넘게 차이 났습니다.
상위 10%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13억4천만 원으로 하위 10%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 3천만 원과 44배가량 차이를 보였습니다.

전화인터뷰> 최재혁 / 국가데이터처 행정통계과장
"주택 가격의 상위하고 하위의 차이기 때문에 양극화의 단면이 들어있는 것은 맞지만, 21년도에 10분위수와 1분위수 배율이 49.5로 역대 최고치였거든요, 그 이후로 값이 줄어들었다가 다시 증가한 형태. 최고치까지 가진 못했지만 24년도는 다소 커진 정도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2023년 11월까지 무주택자였다가 1년 뒤 주택을 소유하게 된 사람은 81만8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반대로 같은 기간 유주택자에서 무주택자가 된 사람은 36만5천 명으로 파악됐습니다.
소유 주택이 늘어난 사람은 111만3천 명으로, 이중 106만8천 명이 집을 한 채 더 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강은희)

KTV 윤현석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833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