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액·상습 체납자 공개···작년보다 3.4%↑
등록일 : 2025.11.19 20:20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지방세 등을 1천만 원 넘게 내지 않은 고액 체납자의 명단이 공개됐습니다.
개인의 최고 체납액은 324억 원에 달했는데 정부는 명단 공개자에 대한 행정 제재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부동산 신축 사업을 하는 A씨.
수년 동안 지방세 1억1천만 원 가량을 고의로 납부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부동산 공매 등 체납 처분을 통해 지자체가 지방세 체납액을 징수했습니다.
이처럼 지방세나 지방행정제재 부과금 등을 1년 이상 1천만 원 넘게 체납한 1만621명의 명단이 공개됐습니다.
이 가운데 지방세 개인 체납 최고액은 324억여 원, 법인 기준으로는 209억여 원에 달했습니다.
항목별로 보면, 지방세 체납자가 9천여 명, 지방행정제재 부과금 체납자 1천4백여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 대비 3.4% 증가한 것입니다.
지역별로 보면, 지방세 체납자 가운데 경기도 체납자가 2천800여 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지방행정제재 부과금 체납자는 수도권이 665명으로 집계됐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징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명단 공개를 포함해 고액, 상습체납자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전화 인터뷰> 김정선 / 행정안전부 지방세정책과장
"명단공개자에 대한 수입물품 체납 처분 위탁, 출국금지, 감치 등과 같은 다양한 행정 제재를 추진하며 고액 상습 체납자에 대해서 단호하게 대처할 방침입니다."
이와 함께 신용 평가에 체납 정보를 반영하고 금융정보분석원과 협업해 재산 추적 조사를 시행하는 한편, 체납관리단 확대 운영 등 '맞춤형 징수 방안'도 마련할 계획입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신경은입니다.
지방세 등을 1천만 원 넘게 내지 않은 고액 체납자의 명단이 공개됐습니다.
개인의 최고 체납액은 324억 원에 달했는데 정부는 명단 공개자에 대한 행정 제재를 강화할 방침입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부동산 신축 사업을 하는 A씨.
수년 동안 지방세 1억1천만 원 가량을 고의로 납부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부동산 공매 등 체납 처분을 통해 지자체가 지방세 체납액을 징수했습니다.
이처럼 지방세나 지방행정제재 부과금 등을 1년 이상 1천만 원 넘게 체납한 1만621명의 명단이 공개됐습니다.
이 가운데 지방세 개인 체납 최고액은 324억여 원, 법인 기준으로는 209억여 원에 달했습니다.
항목별로 보면, 지방세 체납자가 9천여 명, 지방행정제재 부과금 체납자 1천4백여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 대비 3.4% 증가한 것입니다.
지역별로 보면, 지방세 체납자 가운데 경기도 체납자가 2천800여 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지방행정제재 부과금 체납자는 수도권이 665명으로 집계됐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징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명단 공개를 포함해 고액, 상습체납자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전화 인터뷰> 김정선 / 행정안전부 지방세정책과장
"명단공개자에 대한 수입물품 체납 처분 위탁, 출국금지, 감치 등과 같은 다양한 행정 제재를 추진하며 고액 상습 체납자에 대해서 단호하게 대처할 방침입니다."
이와 함께 신용 평가에 체납 정보를 반영하고 금융정보분석원과 협업해 재산 추적 조사를 시행하는 한편, 체납관리단 확대 운영 등 '맞춤형 징수 방안'도 마련할 계획입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김지영)
KTV 신경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836회) 클립영상
- 한-UAE '경제동맹'···"AI·방산 350억 달러 성과 기대" 02:39
- "한-UAE 세계 최강국으로···기업 지원 아끼지 않을 것" 02:13
- 정부, 론스타와 13년 분쟁 승소···배상금 '0원' 02:10
- "재정이 버팀목 될 것"···공공부문 지역제한 경쟁입찰 확대 02:22
- "글로벌 밸류체인 선점···미국과 연대" [뉴스의 맥] 04:13
- 고액·상습 체납자 공개···작년보다 3.4%↑ 01:52
-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재직 증가···공시집단 현황 공개 02:48
- 은행 창구에서도 '오픈뱅킹'···금융 소외 해소 02:07
- 해군 첫 잠수함 '장보고함' 마지막 항해···34년 대장정 마무리 02:09
- 다음 주 누리호 4차 발사···첫 새벽 비행 02:00
- 대전 일자리 페스티벌···지역 청년 일자리 지원 강화 02:10
- 반복되는 보일러 '하자' 피해···"합의율 절반 미만" 02:33
- 공공기관 유휴부지, 생활물류시설로 활용 01:04
- 해외직구 헤어드라이어, 전기드릴 등 7개 제품 KC 인증 기준 부적합 00:45
- 에너지 스틱 품질 비교 결과, 제품별 함유 성분 차이 있어 운동 유형에 맞게 선택해야 00:50
- 항생제 남용은 순간! 내성은 평생입니다! 함께 예방해요 00: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