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당직제도 첫 개편···재택·통합당직 대폭 확대
등록일 : 2025.11.24 20:02
미니플레이
김경호 앵커>
공무원 당직 제도가 도입 76년 만에 대폭 개편됩니다.
재택 당직과 인접 기관 간 통합 당직, AI 민원 응대 등이 도입됩니다.
최다희 기자입니다.
최다희 기자>
1천100여 개 기관, 연간 약 57만 명의 국가공무원이 근무하고 있는 당직제도.
사무실 대기 의무 등 시대 변화에 맞지 않는 당직 관행이라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인사혁신처가 '국가공무원 복무규칙' 개정안을 마련해 당직제도 도입 이후 첫 개편에 나섭니다.
우선, 재택당직이 전면 확대됩니다.
무인전자경비장치와 유인경비시스템 등을 갖춘 기관이면 인사처, 행안부와의 사전 협의 없이, 자율적으로 재택당직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재택당직 사무실 대기 시간도 기존 2~3시간에서 1시간으로 줄어듭니다.
여러 기관이 한 청사나 인접 건물에 모여 있는 경우에는 '통합당직'이 가능해집니다.
예를 들어, 대전청사와 같이 8개 기관이 모여 있는 경우 기존에는 기관별 1명씩 총 8명이 당직을 했다면, 앞으로는 3명의 당직 근무자가 8개 기관을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야간과 휴일 민원이 많은 기관에는 AI 민원응대가 도입됩니다.
일반 민원은 국민신문고로, 화재·범죄는 119와 112로 자동 연결하고, 긴급한 민원만 실제 당직자에게 전달합니다.
인사처는 이번 개편으로 당직 예산이 줄고, 사무실 당직 후 휴무로 생기던 업무 공백도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녹취> 천지윤 / 인사혁신처 윤리복무국장
"사무실 당직 근무자에게 지급되던 당직비가 절감돼서 연간 169억 원 수준의 예산 절감이 예상됩니다."
개정안은 관련 규정을 정비한 후, 약 3개월간의 시범운영을 거쳐 내년 4월부터 전면 시행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고광현 /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강은희)
KTV 최다희입니다.
공무원 당직 제도가 도입 76년 만에 대폭 개편됩니다.
재택 당직과 인접 기관 간 통합 당직, AI 민원 응대 등이 도입됩니다.
최다희 기자입니다.
최다희 기자>
1천100여 개 기관, 연간 약 57만 명의 국가공무원이 근무하고 있는 당직제도.
사무실 대기 의무 등 시대 변화에 맞지 않는 당직 관행이라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인사혁신처가 '국가공무원 복무규칙' 개정안을 마련해 당직제도 도입 이후 첫 개편에 나섭니다.
우선, 재택당직이 전면 확대됩니다.
무인전자경비장치와 유인경비시스템 등을 갖춘 기관이면 인사처, 행안부와의 사전 협의 없이, 자율적으로 재택당직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재택당직 사무실 대기 시간도 기존 2~3시간에서 1시간으로 줄어듭니다.
여러 기관이 한 청사나 인접 건물에 모여 있는 경우에는 '통합당직'이 가능해집니다.
예를 들어, 대전청사와 같이 8개 기관이 모여 있는 경우 기존에는 기관별 1명씩 총 8명이 당직을 했다면, 앞으로는 3명의 당직 근무자가 8개 기관을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야간과 휴일 민원이 많은 기관에는 AI 민원응대가 도입됩니다.
일반 민원은 국민신문고로, 화재·범죄는 119와 112로 자동 연결하고, 긴급한 민원만 실제 당직자에게 전달합니다.
인사처는 이번 개편으로 당직 예산이 줄고, 사무실 당직 후 휴무로 생기던 업무 공백도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녹취> 천지윤 / 인사혁신처 윤리복무국장
"사무실 당직 근무자에게 지급되던 당직비가 절감돼서 연간 169억 원 수준의 예산 절감이 예상됩니다."
개정안은 관련 규정을 정비한 후, 약 3개월간의 시범운영을 거쳐 내년 4월부터 전면 시행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고광현 /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강은희)
KTV 최다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839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G20 일정 마치고 튀르키예 도착 01:57
- 이 대통령 "남북관계 단절은 '업보'···소통의 길 열어야" 02:21
- 원·하청 노조 분리 교섭···노란봉투법 시행령 개정 01:52
- '헌법존중 정부혁신 TF' 시작···"원칙·절제 중요" 01:55
- 내년 1.9% 성장 무게···민간소비 등 내수회복 견인 [뉴스의 맥] 04:11
- 4년 만에 열린 과기장관회의···"모두를 위한 AI" 02:16
- AI 공장 500개 구축···유니콘 육성에 13조5천억 투입 02:01
- 공무원 당직제도 첫 개편···재택·통합당직 대폭 확대 01:54
- 대구·부천·여수 등 9곳 '스마트도시' 인증 02:27
- 자금세탁 의심거래 보고 확대···금융권 내부통제 강화 01:40
- '근대 한국어 사전 원고·내방가사', 세계기록유산 도전 02:25
- 올겨울 기온·강수 평년 수준···기온 변동성 클 듯 01:51
- 정부, 국민연금 해외투자 확대 위한 4자 협의체 구성 00:27
- 이찬진 금감원장 "모험 자본 공급 속도·실효성 높여야" 00:45
- '간부 모시는 날' 신고센터 첫 운영··· 최대 파면 가능 01:03
- 한국식 치킨, 세계인의 입맛 사로잡아 01:04
- 밥 한 그릇에 담긴 의미, 박물관에서 만나다 01:04
- 아는 만큼 돌려받는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시작 [클릭K+] 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