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중대재해 위험 요인 집중 점검
등록일 : 2025.11.25 11:37
미니플레이
김용민 앵커>
공장이나 건설 현장뿐만 아니라, 경비, 청소업과 같은 생활밀접 업종에서도 산재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김현지 앵커>
이에 정부가, 전국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안전점검에 나섰는데요.
자세한 내용, 한국노동연구원 박종식 노사관계연구본부 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박종식 / 한국노동연구원 노사관계연구본부 연구위원)

김용민 앵커>
먼저, 정부가 이번에 생활밀접 업종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안전점검에 나서게 된 배경부터 설명해주시죠.

김용민 앵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산업재해 문제를 반드시 해결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는데요.
관련 내용, 듣고 오겠습니다.

김현지 앵커>
그래서 이번 집중점검이 생활밀접 업종을 중심으로 진행이 된 거군요.
생활밀접 업종에서의 산재 사고,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 겁니까?

김용민 앵커>
이런 생활밀접 사업장을 대상으로, 정부가 지난 일주일간 '5대 중대재해 위험요인'을 집중점검했는데요.
이 '5대 위험요인'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김현지 앵커>
현재 생활밀접 사업장들은 산재 사고를 막기 위한 안전관리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김용민 앵커>
또, 고령화 역시 산재 사고가 늘어나는 원인 중 하나라고 하던데요?

김현지 앵커>
그렇다면 이렇게 생활밀접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산재 사고들을 줄일 방안들, 구체적으로 어떤 게 있을까요?

김용민 앵커>
이번 점검, 직접 현장으로 찾아가서 살펴보는 불시 점검 형태로 이뤄졌습니다.
그만큼 현장에서도 안전관리에 대한 경각심이 조금은 높아졌을 것 같은데, 어떻게 보십니까?

김현지 앵커>
이번 점검은 노동부뿐 아니라 지방정부, 안전보건공단 등이 함께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는데요.
이런 협업 구조가 산재 예방에 어떤 도움이 될 거라 보십니까?

김용민 앵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가 '산재 공화국'이란 오명을 벗기 위해서, 추후 어떤 후속 조치와 정책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십니까?
그 과정에서, 한국노동연구원은 어떤 역할을 하실 계획인가요?

김용민 앵커>
지금까지 한국노동연구원 박종식 노사관계연구본부 연구위원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