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출생아 증가율 8.6%···혼인 최대폭 증가
등록일 : 2025.11.26 20:05
미니플레이
모지안 앵커>
9월 출생아 수가 지난해보다 8.6% 늘면서, 1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출산의 선행 지표인 혼인도 9월 기준 역대 최대 증가 폭을 보였습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지난 9월 출생아 수가 2만2천369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했을 때 1천780명, 8.6% 늘어났습니다.
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부터 15개월 연속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9월까지 집계된 출생아 수는 19만1천40명으로, 2007년 이후 18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도 0.85명으로, 지난해보다 0.06명 증가했습니다.
30~34세 여성이 1천 명당 78.3명을 낳아 출산 증가세를 이끌었고, 35~39세 여성이 뒤를 이었습니다.
출산의 선행 지표인 혼인 건수도 1만8천462건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보다 3천95건 20.1% 늘어난 것으로, 9월 기준 역대 최대 증가폭을 보였습니다.
전화인터뷰> 박현정 / 국가데이터처 인구동향과장
"우선 30대 초반 인구가 증가했고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 변화와 정책적 효과도 함께 기여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지난 9월 사망자는 2만8천101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9% 줄었습니다.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아 9월 인구는 5천732명 감소했습니다.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손윤지)
한편 지난달 국내 이동자 수는 44만2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보다 7만9천 명, 15.2% 감소한 것으로 51년 만에 가장 적었습니다.
KTV 신경은입니다.
9월 출생아 수가 지난해보다 8.6% 늘면서, 1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출산의 선행 지표인 혼인도 9월 기준 역대 최대 증가 폭을 보였습니다.
신경은 기자입니다.
신경은 기자>
지난 9월 출생아 수가 2만2천369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했을 때 1천780명, 8.6% 늘어났습니다.
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부터 15개월 연속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9월까지 집계된 출생아 수는 19만1천40명으로, 2007년 이후 18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도 0.85명으로, 지난해보다 0.06명 증가했습니다.
30~34세 여성이 1천 명당 78.3명을 낳아 출산 증가세를 이끌었고, 35~39세 여성이 뒤를 이었습니다.
출산의 선행 지표인 혼인 건수도 1만8천462건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보다 3천95건 20.1% 늘어난 것으로, 9월 기준 역대 최대 증가폭을 보였습니다.
전화인터뷰> 박현정 / 국가데이터처 인구동향과장
"우선 30대 초반 인구가 증가했고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 변화와 정책적 효과도 함께 기여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지난 9월 사망자는 2만8천101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9% 줄었습니다.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아 9월 인구는 5천732명 감소했습니다.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손윤지)
한편 지난달 국내 이동자 수는 44만2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보다 7만9천 명, 15.2% 감소한 것으로 51년 만에 가장 적었습니다.
KTV 신경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841회) 클립영상
- 4개국 순방 후 귀국···"실용외교 지평 확대" 02:54
- "환율 과도하면 단호 대처···협의체, 개선 방안 논의" 02:04
- 차세대 태양광 모듈 2028년까지 상용화 02:07
- 9월 출생아 증가율 8.6%···혼인 최대폭 증가 02:00
- 내년 수도권 공공분양 2만9천 호···"판교급 공급" 02:35
- 퇴직연금 도입하면 대출 지원···기업당 최대 5억 원 01:32
- 기업·보험 정보 등 금융공공데이터 추가 개방 01:49
- 학생 74% "고교학점제, 희망 과목 자유롭게 선택" 01:50
- 세계인 입맛 홀린 '김'···역대 최고 수출액 달성 02:23
- 올해 종합부동산세, 다음 달 15일까지 납부해야 00:33
-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월평균 4천849원 오른다 00:33
- 포항 수성사격장 피해 대책 논의···민·관·군 협의체 열려 00:38
- 민생지원 차원에서 국세 카드납부 수수료가 12.2.부터 전격 인하됩니다! 01:10
- "연락처 없는 주차위반 차량 처리, 어떻게?" '차량 소유자 전화번호' 확보 가능토록 개선 00:55
-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으로 국가자격시험제도 재도약 추진 00:43
- 백제 한성기 도성 실체 규명 위한 '서울 풍납동 토성' 내 창의마을부지 발굴 착수 00: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