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더딘 행보
등록일 : 2007.03.28
미니플레이
서울에서 열리고 있는 한미FTA 통상장관급 협상이 28일로 절반을 넘어섰습니다.
하지만 최대 쟁점인 농업 분과는 아직까지 타협점을 찾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28일 협상 소식, 먼저 보도합니다.
박영일 기자>
농업 고위급 협상이 연일 강행군을 이어가고 있지만, 좀처럼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27일 쇠고기 개방일정을 서면으로 요구했던 미국 측이 28일은 돼지고기 관세를 5년 안에 철폐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산 넘어 또 하나의 산이 나타난 격입니다.
쇠고기 시장 개방에 대한 우리쪽의 입장은 단호합니다.
오는 5월 국제수역사무국에서 미국산 쇠고기의 안정성에 대한 최종 결과가 나온 뒤에야 논의할 수 있다는 겁니다.
한편 우리측 초민감 품목인 쌀 시장 개방요구는 오늘까지도 없었습니다.
포도와 같은 신선과일류에 계절관세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지만, 양측이 접점을 찾지는 못했습니다.
농업분과 고위급 협상은 미국의 크라우더 대표가 본국으로 돌아가기 직전인 29일 오전에 상당한 진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장관급 협상 테이블에 올라갈 의제를 얼마나 줄이느냐가 관건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하지만 최대 쟁점인 농업 분과는 아직까지 타협점을 찾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28일 협상 소식, 먼저 보도합니다.
박영일 기자>
농업 고위급 협상이 연일 강행군을 이어가고 있지만, 좀처럼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27일 쇠고기 개방일정을 서면으로 요구했던 미국 측이 28일은 돼지고기 관세를 5년 안에 철폐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산 넘어 또 하나의 산이 나타난 격입니다.
쇠고기 시장 개방에 대한 우리쪽의 입장은 단호합니다.
오는 5월 국제수역사무국에서 미국산 쇠고기의 안정성에 대한 최종 결과가 나온 뒤에야 논의할 수 있다는 겁니다.
한편 우리측 초민감 품목인 쌀 시장 개방요구는 오늘까지도 없었습니다.
포도와 같은 신선과일류에 계절관세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지만, 양측이 접점을 찾지는 못했습니다.
농업분과 고위급 협상은 미국의 크라우더 대표가 본국으로 돌아가기 직전인 29일 오전에 상당한 진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장관급 협상 테이블에 올라갈 의제를 얼마나 줄이느냐가 관건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309회) 클립영상
- 한·카타르 실질 협력 기대 50:50
- 농업, 더딘 행보 50:50
- 막판 조율 총력 50:50
- 美 민주당, FTA 시한 연장 가능성 시사 50:50
- 선진국 도약 디딤돌 50:50
- 이산가족 화상상봉 이틀째 50:50
- 아파트 거래 뚝 50:50
- 근본처방은 균형발전 50:50
- 2분기 국민임대 1만6천654가구 공급 50:50
- 보육시설 확산 50:50
- 1천조원 돌파 50:50
- 미래는 감성사회 50:50
- 다음달부터 `찾아가는 보건소` 추진 50:50
- 중증노인 수발 지원 50:50
- 동아일보 광고탄압 보도 관련 50:50
- 국정홍보처 역할은 `정책홍보` 50:50
- 새마을금고 부실경영 보도 관련 행자부 입장 50:50
- 해외세무 상담, 클릭 50:50
- 빵·카레도 원산지 표시 50:50
- 통관시간 9.9일서 3.9일로 대폭 축소 50:50
- 북한 식량 100만톤 부족 시인 50:50
- 민·군겸용기술 부처간 협력 확대 50:50
- 미국 역사교과서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 50:50
- 올해 군무원 1천여명 선발 50:50
- 순간포착 - 사랑의 도배행사 5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