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선택‘과 ‘집중‘
등록일 : 2007.03.20
미니플레이
올 하반기부터 농가등록제가 도입돼 농가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지원이 제공됩니다.

20일 농.어민들을 대상으로 올 한 해 농업과 수산업 정책 업무보고가 있었습니다.

김미정 기자>

`2007 국민과 함께하는 업무보고`에서, 농림부는 올해부터 농가유형을 주업 여부와 경쟁력 정도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해 각각 다른 정책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성장 가능성이 있는 전업농과 중소농에는 영농 규모화와 농가소득 직불제가 확충되는 등 농업정책이 집중 지원됩니다.

또 고령농에는 생계비 걱정 없이 은퇴할 수 있도록 농촌형 일자리 창출과 의료지원 등 복지대책이 강화됩니다.

그러나 취미.부업농은 정책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농림부는 이 같은 맞춤형 농정을 추진하기 위해 올 하반기부터 농가등록제를 시범 실시할 예정입니다.

농림부는 우선 내년부터 신규 농가소득 직불제에 농가등록제를 우선 적용한 뒤 단계적으로 적용사업을 늘려가 2009년 이후에는 전체 농가로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더불어 FTA, DDA 등 시장개방에 따른 피해농가 지원 규모도 늘어납니다.

농림부는 지난 2004년부터 추진해 온 `농업분야 119조원 투.융자계획`에 한미FTA 등 급변한 여건을 반영해 예산을 증액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한.칠레FTA 피해보상 차원에서 과수 농가에 1조 2천억 원의 `FTA 이행지원기금`이 지원되고 있는 것처럼 한미FTA가 체결되면 관련 농가에도 이같은 지원기금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농림부는 정책추진을 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농업.농촌기본법은 식품.농업.농촌기본법으로 개정하고, FTA 이행특별법도 손질하기로 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