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과 `소통`
등록일 : 2007.03.19
미니플레이
참여정부 4년을 되짚어보는 정책리포트입니다.
20일은 참여정부의 정책홍보는 어떻게 추진돼왔고 무엇이 달라졌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김미정 기자>
과거의 정책 홍보방식은 정부가 언론에 설명하고 언론이 이를 전달하는 일방향 구조.
때문에 정책홍보를 위해 정부의 언론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 같은 권언유착의 관계를 벗어나 합리적인 홍보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것이 참여정부가 출범초기부터 내세운 `시스템 홍보`입니다.
다시말해 정책을 국민들에게 있는 그대로 알리되 잘못된 보도는 정정과 반론으로 대응하고, 타당한 지적과 비판은 적극 수용하겠다는 것입니다.
특히 분석 및 대응 시스템은 정책홍보 시스템의 핵심 요소입니다.
언론보도 내용을 종합.분석해 수용할 것은 수용하고 대응할 것은 대응하면서 정책을 정확히 알린다는 것.
국정브리핑이라는 창구를 통해 해당 공무원은 직접 언론과 국민들 앞에 의견을 제시하고 그들의 올바를 판단을 유도합니다.
해마다 늘어나는 언론중재위원회의 피해구제 건수가 좋은 예입니다.
참여정부 출범 이전 200~300건대 수준에 불과했던 언론 피해 구제건수는 지난 2003년 이후 매년 400~ 500건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기사를 둘러싼 문제에 대해 `뒷거래`같은 음성적인 수단이 아닌 적법절차로 피해구제를 받겠다는 정부의 노력이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한미FTA, 국가균형발전, 부동산, 양극화.
각 부처 정책홍보관리실장이 참석하는 회의에서 나온 정부의 의제 안건들입니다.
참여정부는 과거 정책과 홍보를 분리한 홍보방식에서 벗어나 부처간 협조체계를 구축해 정책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이를 위해 개방형 브리핑으로 부처간 홍보 메시지 중복을 피해 효율적으로 정책을 홍보한다는 설명입니다.
또 각 부처 기획실과 공보실을 정책홍보관리실로 통합하는 등 정책과 홍보의 연계성을 강조해 효율적인 정책 홍보 시스템이 가능해졌다는 평가입니다.
국민과 직접 대화하고 설득하는 것이 정책홍보의 핵심.
정부는 다양한 소통창구를 열고 국민들의 의견을 듣는 데 중점을 뒀습니다.
국민의 의견을 수렴해 정책을 수립하고 그 정책이 국민들에게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사실대로 잘 전달할 때, 정부 정책도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판단에서입니다.
정책과 홍보의 유기적 결합으로 참여정부가 추진해온 `시스템 홍보`.
지난 4년간 정책의 고객인 동시에 조언자인 국민들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일은 참여정부의 정책홍보는 어떻게 추진돼왔고 무엇이 달라졌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김미정 기자>
과거의 정책 홍보방식은 정부가 언론에 설명하고 언론이 이를 전달하는 일방향 구조.
때문에 정책홍보를 위해 정부의 언론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 같은 권언유착의 관계를 벗어나 합리적인 홍보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것이 참여정부가 출범초기부터 내세운 `시스템 홍보`입니다.
다시말해 정책을 국민들에게 있는 그대로 알리되 잘못된 보도는 정정과 반론으로 대응하고, 타당한 지적과 비판은 적극 수용하겠다는 것입니다.
특히 분석 및 대응 시스템은 정책홍보 시스템의 핵심 요소입니다.
언론보도 내용을 종합.분석해 수용할 것은 수용하고 대응할 것은 대응하면서 정책을 정확히 알린다는 것.
국정브리핑이라는 창구를 통해 해당 공무원은 직접 언론과 국민들 앞에 의견을 제시하고 그들의 올바를 판단을 유도합니다.
해마다 늘어나는 언론중재위원회의 피해구제 건수가 좋은 예입니다.
참여정부 출범 이전 200~300건대 수준에 불과했던 언론 피해 구제건수는 지난 2003년 이후 매년 400~ 500건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기사를 둘러싼 문제에 대해 `뒷거래`같은 음성적인 수단이 아닌 적법절차로 피해구제를 받겠다는 정부의 노력이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한미FTA, 국가균형발전, 부동산, 양극화.
각 부처 정책홍보관리실장이 참석하는 회의에서 나온 정부의 의제 안건들입니다.
참여정부는 과거 정책과 홍보를 분리한 홍보방식에서 벗어나 부처간 협조체계를 구축해 정책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이를 위해 개방형 브리핑으로 부처간 홍보 메시지 중복을 피해 효율적으로 정책을 홍보한다는 설명입니다.
또 각 부처 기획실과 공보실을 정책홍보관리실로 통합하는 등 정책과 홍보의 연계성을 강조해 효율적인 정책 홍보 시스템이 가능해졌다는 평가입니다.
국민과 직접 대화하고 설득하는 것이 정책홍보의 핵심.
정부는 다양한 소통창구를 열고 국민들의 의견을 듣는 데 중점을 뒀습니다.
국민의 의견을 수렴해 정책을 수립하고 그 정책이 국민들에게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사실대로 잘 전달할 때, 정부 정책도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판단에서입니다.
정책과 홍보의 유기적 결합으로 참여정부가 추진해온 `시스템 홍보`.
지난 4년간 정책의 고객인 동시에 조언자인 국민들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