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2.13 합의 후속조치 이행낙관
등록일 : 2007.03.16
미니플레이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으로부터 북한 방문 결과를 전해들은 각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들이 북한의 2.13 합의 후속조치 이행을 낙관한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를 반영하듯 중국과 미국 등 관련국들이 북한에 대한 지원 방안을 구체적으로 내놓고 있습니다.
최고다 기자>
천영우 대표와 크리스토퍼 힐 미국 수석대표, 그리고 일본측 대표가 베이징 시내 한 호텔에서 엘바라데이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을 만났습니다.
지난 13~14일 이틀간 북한을 방문하고 돌아온 엘바라데이 총장으로부터
방북 결과를 듣기위한 자리입니다.
엘바라데이 사무총장은 북한과 핵시설 폐쇄. 봉인 절차에 대해 협의했고 폐쇄. 봉인 이후의 다음 단계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눴다고 설명했습니다.
회담이 끝난 후 수석대표들은 북한이 2.13 합의 후속 조치를 이행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북한의 약속을 신뢰한다는 뜻을 표시하기라도 하듯 관련국들의 상응조치도 속속 이뤄지고 있습니다.
미국 측의 크리스토퍼 힐 대표는 북한이 BDA 문제가 해결됐다는 확신을 원하는 것 같다며 미국은 그런 확신을 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BDA 북한계좌의 전액 해제 등 북한이 원하는 방향으로 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중국도 어제 시작된 6자회담 에너지·경제 협력 실무그룹 회의에서 대북 초기 상응조치인 중유 5만t 지원 이후 이뤄질 2차 지원 때 중유를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우리 측은 남북협력기금 200억 원을 들여 중유 5만t을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의 북한 도착 시점에 맞춰 보내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한편 동북아 지역 정부간에 안보협력 체제를 만드는 방안을 논의하는 `동북아 안보협력체제` 실무그룹 회의가 주중 러시아대사관에서 열렸습니다.
6자회담 참가국들은 9.19 공동성명 조문에 근거해 동북아 관련국들 간에 안보협력 틀을 만드는 방안을 협의했습니다.
참가국들은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과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중미통합체제(SICA) 등 타 지역그룹의 안보협력 사례를 참고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우리 정부는 동북아안보체제 구축의 초기 조치 차원에서 역내 관련국간 합동 해상 수색과 구조훈련을 제안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를 반영하듯 중국과 미국 등 관련국들이 북한에 대한 지원 방안을 구체적으로 내놓고 있습니다.
최고다 기자>
천영우 대표와 크리스토퍼 힐 미국 수석대표, 그리고 일본측 대표가 베이징 시내 한 호텔에서 엘바라데이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을 만났습니다.
지난 13~14일 이틀간 북한을 방문하고 돌아온 엘바라데이 총장으로부터
방북 결과를 듣기위한 자리입니다.
엘바라데이 사무총장은 북한과 핵시설 폐쇄. 봉인 절차에 대해 협의했고 폐쇄. 봉인 이후의 다음 단계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눴다고 설명했습니다.
회담이 끝난 후 수석대표들은 북한이 2.13 합의 후속 조치를 이행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북한의 약속을 신뢰한다는 뜻을 표시하기라도 하듯 관련국들의 상응조치도 속속 이뤄지고 있습니다.
미국 측의 크리스토퍼 힐 대표는 북한이 BDA 문제가 해결됐다는 확신을 원하는 것 같다며 미국은 그런 확신을 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BDA 북한계좌의 전액 해제 등 북한이 원하는 방향으로 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중국도 어제 시작된 6자회담 에너지·경제 협력 실무그룹 회의에서 대북 초기 상응조치인 중유 5만t 지원 이후 이뤄질 2차 지원 때 중유를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우리 측은 남북협력기금 200억 원을 들여 중유 5만t을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의 북한 도착 시점에 맞춰 보내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한편 동북아 지역 정부간에 안보협력 체제를 만드는 방안을 논의하는 `동북아 안보협력체제` 실무그룹 회의가 주중 러시아대사관에서 열렸습니다.
6자회담 참가국들은 9.19 공동성명 조문에 근거해 동북아 관련국들 간에 안보협력 틀을 만드는 방안을 협의했습니다.
참가국들은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과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중미통합체제(SICA) 등 타 지역그룹의 안보협력 사례를 참고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우리 정부는 동북아안보체제 구축의 초기 조치 차원에서 역내 관련국간 합동 해상 수색과 구조훈련을 제안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301회) 클립영상
- 北 2.13 합의 후속조치 이행낙관 49:54
- 강력한 공동방위 49:54
- 노 대통령, 세계육상대회 대구 유치 적극 지원 49:54
- 2011 세계육상대회 유치 막바지 총력전 49:54
- 박명재 행자부 장관, 공무원 퇴출제 바람직 49:54
- 대한적십자사, 27일부터 대북 비료지원 49:54
- 재산세 소폭 상승 49:54
- 진의 외면한 보도 49:54
- 부동산 40주년-주거안정기관 탈바꿈 49:54
- 조선일보 쇠고기값 세계 1위 보도 관련 농림부 입장 49:54
- 고위급 회담서 일괄타결 시도 49:54
- 통관시간은 경쟁력 49:54
- 대담녹화-이재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 49:54
- 언론정책 높이 평가 49:54
- 진실이 여기에 4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