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진의 외면한 보도
등록일 : 2007.03.16
미니플레이
15일부는 올해 보유세수 전망에 대해 국민들에게 소상히 설명하는 자리를 가진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언론은 권오규 경제부총리의 발언 가운데 일부만을 뽑아내 진의와는 거리가 먼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문현구 기자>

동아일보는 권오규 부총리가 15일 `올해 보유세수 전망` 브리핑에서 한 발언을 `보유세 부담이 급증한 강남 주민들이 세금을 낼 여유가 없으면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가면 될 것 아니냐는 뉘앙스를 담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고 보도했습니다.

또 같은 날 동아일보의 다른 기사에서도 `서울 강남권에서 경기 성남시 분당 신도시의 싼 집으로 이사하면 된다`는 논리를 제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들 기사만 놓고 보면, 권 부총리가 서울 강남주민에게 이사를 권유한다는 식으로 밖에 이해할 수 없게 됩니다.

하지만 실제 상황은 그렇지가 않습니다.

15일 브리핑 뒤 이어진 질의 응답시간에 `보유세가 오른 데다 양도세마저 높아 집을 선뜻 팔 수도 없다`는 지적이 나오자 권 부총리는 `서울 강남 거주자가 비슷한 규모의 분당지역으로 집을 옮기면 상당한 현금을 확보하면서 양도하고 이사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굳이 강남에 살면서 양도세를 낮춰 달라거나 종합부동산세 과세 대상을 높여달라는 일부의 요구에 대해 대안으로 제시한 하나의 사례로 보는 것이 적절한 해석입니다.

이와 관련해 재정경제부는 최근 시가대비 보유세 실효세율을 선진국과 비교했고, 그 결과 우리나라의 실효세율은 미국, 일본, 캐나다, 프랑스 등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매년 지속적인 과표 현실화를 통해 실효세율을 높여도 10년 후인 2017년에 이르러서야 종부세 대상자의 경우 0.83%로 현재의 일본 수준에 겨우 근접하게 됩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일부 언론이 보인 `강남주민 이사 가라`는 말꼬리 잡기 식의 보도태도는 정부정책 때리기가 목적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기에 충분합니다.

보유세라는 것은 재산가격에 상응해서 부과하는 세금이고, 만약에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면 납세대상 인원이라던가 납세대상자 수가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