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형평의 시작
등록일 : 2007.03.15
미니플레이
집값이 오른 만큼 세금을 더 부과하겠다는 것이 보유세의 기본 취지입니다.
이는 곧 조세형평의 원칙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매우 당연한 이 원칙이 지켜지기까지 수십 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김현근 기자>
지나치게 낮게 메겨진 부동산 보유세를 현실화하겠다는 노력은 역대 정부 내내 시도됐습니다.
5공화국 시절인 86년 1월, 당시 내무부는 전국 건물의 평균 과세시가표준액을 3.4% 인상하고 건물 크기에 따라 재산세를 차등 적용키로 결정합니다.
세금이 너무 적고 형평성에도 어긋난다는 판단에섭니다.
하지만 일부 언론과 지주의 거센 반발 속에 그 해 5월 정석모 내무부 장관은 재산세 파동의 책임을 지고 사퇴하고 맙니다.
기득권 앞에 조세형평의 원칙이 무참히 짓밟힌 것입니다.
토지과표를 60%까지 올리겠다는 6공화국의 과표 현실화 5개년 계획도 과표를 공시지가로 전환해 부동산을 갖고 있는게 고통이 되게 하겠다던 문민정부의 야심찬 계획도 모두 소리만 요란한 채 흐지부지됩니다.
부동산 세제를 통째로 개편해야 한다던 국민의 정부 역시 선거를 앞둔 표심잡기와 여론의 반발에 뒤섞여 이를 중도 포기합니다.
지역차등 없이 면적과 신축연도로만 세금을 부과하던 당시의 보유세 사례를 살펴보면 이 방식이 얼마만큼 불합리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비슷한 시세인 강남 대치동 26평형 아파트와 경남 창원시의 57평 아파트, 그러나 면적이 넓고 새 아파트란 이유로 세금은 7만원과 51만원으로 7배 차이가 납니다.
특히 3억원이 넘는 강남아파트의 보유세는 2천cc승용차의 40만원 의 5/1 수준, 현실과 동떨어진 사례가 비일비재했습니다.
보유세의 실효세율을 선진국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는 참여정부의 정책 역시 세금폭탄으로 매도됩니다.
이번엔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지난해 11월, 첩첩산중을 넘어온 보유세의 마지막 등반이 시작되는 12월1일 D데이를 앞두고 국세청의 분위기는 비장함마저 감돕니다.
지난 12월 15일 종부세 납세 신고율 최종 집계 수치는 98.2%.
폭탄이라던 종부세는 국민 100명중 98명 이상의 동참 속에 성공적인 발걸음을 내딛었습니다.
갖은 만큼 더 낸다는 시장경제의 평범한 원칙은 해를 거듭할수록 현실화 됩니다.
주택을 여러 채 갖고 있어도 추가부담이 없어 불로소득의 대명사가 돼 버린 부동산 양도소득의 환수시스템이 제 모습을 갖춰가고 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는 곧 조세형평의 원칙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매우 당연한 이 원칙이 지켜지기까지 수십 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김현근 기자>
지나치게 낮게 메겨진 부동산 보유세를 현실화하겠다는 노력은 역대 정부 내내 시도됐습니다.
5공화국 시절인 86년 1월, 당시 내무부는 전국 건물의 평균 과세시가표준액을 3.4% 인상하고 건물 크기에 따라 재산세를 차등 적용키로 결정합니다.
세금이 너무 적고 형평성에도 어긋난다는 판단에섭니다.
하지만 일부 언론과 지주의 거센 반발 속에 그 해 5월 정석모 내무부 장관은 재산세 파동의 책임을 지고 사퇴하고 맙니다.
기득권 앞에 조세형평의 원칙이 무참히 짓밟힌 것입니다.
토지과표를 60%까지 올리겠다는 6공화국의 과표 현실화 5개년 계획도 과표를 공시지가로 전환해 부동산을 갖고 있는게 고통이 되게 하겠다던 문민정부의 야심찬 계획도 모두 소리만 요란한 채 흐지부지됩니다.
부동산 세제를 통째로 개편해야 한다던 국민의 정부 역시 선거를 앞둔 표심잡기와 여론의 반발에 뒤섞여 이를 중도 포기합니다.
지역차등 없이 면적과 신축연도로만 세금을 부과하던 당시의 보유세 사례를 살펴보면 이 방식이 얼마만큼 불합리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비슷한 시세인 강남 대치동 26평형 아파트와 경남 창원시의 57평 아파트, 그러나 면적이 넓고 새 아파트란 이유로 세금은 7만원과 51만원으로 7배 차이가 납니다.
특히 3억원이 넘는 강남아파트의 보유세는 2천cc승용차의 40만원 의 5/1 수준, 현실과 동떨어진 사례가 비일비재했습니다.
보유세의 실효세율을 선진국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는 참여정부의 정책 역시 세금폭탄으로 매도됩니다.
이번엔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지난해 11월, 첩첩산중을 넘어온 보유세의 마지막 등반이 시작되는 12월1일 D데이를 앞두고 국세청의 분위기는 비장함마저 감돕니다.
지난 12월 15일 종부세 납세 신고율 최종 집계 수치는 98.2%.
폭탄이라던 종부세는 국민 100명중 98명 이상의 동참 속에 성공적인 발걸음을 내딛었습니다.
갖은 만큼 더 낸다는 시장경제의 평범한 원칙은 해를 거듭할수록 현실화 됩니다.
주택을 여러 채 갖고 있어도 추가부담이 없어 불로소득의 대명사가 돼 버린 부동산 양도소득의 환수시스템이 제 모습을 갖춰가고 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300회) 클립영상
- 강남3구·수도권 94% 49:37
- 종부세 일관되게 추진해야 49:37
- 또 시작된 `조세저항론` 49:37
- 조세형평의 시작 49:37
- 수도권 집중 공급 49:37
- 중동 `자원 외교` 49:37
- 찬·반 토론 `활발` 49:37
- 공론화 `물꼬` 49:37
- `BDA` 동결해제 `눈 앞` 49:37
- 구제역 `방역 지원` 49:37
- 이산가족 화상상봉 남측 대상자 명단 확정 49:37
- 전국 산불관계관회의, 비상체제 돌입 49:37
- AI 등 전염병 범정부 연구개발 착수 49:37
- 중소기업 `집중 육성` 49:37
- `보전·건전이용` 동시에 49:37
- 의료법 전면개정 공청회 개최 49:37
- `넓어지는` 조달시장 49:37
- `빌려 쓰는` 학교 49:37
- 합참, 민통선 남쪽 지역 지뢰제거 작전 수행 49:37
-
순간포착
- 선거 통해 민주주의 배워요 49:37 - 재정경제부 브리핑 4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