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한일 EEZ 경계획정
등록일 : 2007.03.05
미니플레이
5일부터 제7차 한-일 배타적경제수역 경계획정 회담이 일본 도쿄에서 진행됩니다.

서로의 국익이 걸려 있는 문제인 만큼 이번 회담에서도 합의점을 찾기가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강석민 기자>

Q>회담이 쉽지 만은 않을 것 같다는 전망인데, 어떻습니까?

A>지난해 9월 6차 회담 이래 6개월 만에 열리는 이번 회담에서도 배타적 경제수역 경계획정에 합의점을 찾기는 어려울 전망입니다.

독도-오키제도 중간선을 배타적 경제수역 경계선으로 하자는 한국 안과, 울릉도-독도 중간선을 경계선으로 내세우는 일본 안 사이에 절충의 여지가 별로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독도 영유권 방침을 분명히 한데 반해 일본은 독도영유권과 EEZ를 분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합의점을 찾기가 더 어려운 실정입니다.

지난 6차 회담에서도 우리나라가 동해상 배타적 경제수역 획정 기점을 울릉도에서 독도로 바꾸겠다고 나서자, 일본은 동중국해의 도리시마를 일본 쪽 기점으로 삼아 남해상 배타적 경제수역을 한국 쪽으로 넓히겠다고 맞불을 놓은 바 있습니다.

Q>그렇다면 이번 회담에서는 합의를 이룰 수 있는게 전혀 없다고 봐야 하는 겁니까?

A>네, 물론 EEZ 경계획정 문제에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 않겠지만 양측은 동해상 해양과학조사를 둘러싼 갈등을 예방하는 방안을 찾는데는 어느정도 의견 접근을 볼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관련해 일본 NHK 방송은 향후 대립을 피하기 위해 해양조사에 대해서는 사전통보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한국측에 제안할 방침이라고 보도해 이런 관측을 뒷받침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