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자리 잡는 `상생협력`
등록일 : 2007.02.22
미니플레이
대,중소 상생협력, 말 그대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해 윈윈을 모색하는 것입니다.

최근 이 상생협력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참여정부 정책 4년을 되짚어 보는 시간, 22일은 대중소 상생협력에 대해 알아봅니다.

유진향 기자>

자동차 한 대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부품은 대략 200만개.

이들 부품의 대부분은 중소기업들이 대기업인 자동차 회사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서로 밀접하지만 그동안 수직적인 관계를 형성해왔습니다.

대.중소기업의 수직관계 형성은 역사적인 맥락을 살펴보면 알 수 있습니다.

6.70년대 성장위주의 경제 정책이 고착화하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불균형이 생겨나기 시작한 겁니다.

이 불균형은 결국 국가경쟁력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문제로까지 확대됐습니다.

이에 정부가 팔을 걷고 나섰습니다.

정부는 서로 협력해 도움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상생협력`을 기업들에게 강조하기 시작했습니다.

대,중소 상생을 위한 발전모델을 마련했고 주요 그룹 총수들과의 네 차례 공식회의를 통해 경제계의 협력을 당부했습니다.

아울러 상생협력 대상을 기존의 10대 그룹에서 30대 그룹으로 넓혔고, 업종도 제조업 중심에서 유통과 건설, 에너지 등으로 확대했습니다.

이런 정책적인 노력이 효과를 보이기 시작하면서 이제는 기업들이 상생 협력에 자발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에 대한 인식차가 크고 망설이는 기업들도 많은 실정.

따라서 정부는 올해 기존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나가는 한편, 산업별로 특화시키고 지역발전 전략과도 접목시킨다는 계획입니다.

홀로서기에 힘겨운 중소기업들에게 대기업과의 상생협력은 오랜 가뭄 뒤에 내리는 단비와 같습니다.

당장의 이익에만 집착한다면 상생협력은 불필요한 추가 비용에 지나지 않지만 멀리보는 경쟁력을 생각한다면 상생협력은 아주 좋은 투자가 될 수 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